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S초등학교 사례

이용수 1022

영문명
Analysis on Communication Network in "S"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조(Kim, Minj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4호, 65~8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초등학교 내 의사소통 구조와 행위자의 특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활용하여 학교 조직 전체 구성원을 포괄하는 전체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지역 소재 공립 S초등학교 교원이고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초등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영역에 대한 교원들간의 연결 정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초등학교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의사소통 영역에서 학년을 중심으로 응집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S초등학교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에서 행위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영역에서는 수석교사와 연구부장, 생활지도 영역에서는 수석교사와 윤리교육담당 부장, 학교 경영 영역에서는 교감과 교무부장, 개인영역에서는 연구부장과 수석교사가 학교내 의사소통에서 주요 행위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향후 S초등학교 교원들이 학년중심의 당파적 협력관계에서 벗어나 학교차원의 교사학습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학년간 의사소통 활성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S초등학교 교사전문성 개발체제(S초등학교 PDS) 운영과 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the 'S'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SNA) is utilized as a main method to design the research and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y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school in Chung-buk province is viewed and analyzed. Data collection is mainly dependent on a survey meth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connection among teachers particularly in teaching-learning is comparatively high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among them has been analyzed. Secondly, teachers form a cohesive structure by school grade each is in charge at almost all dimensions with regards to cohesion analysis among teachers. Thirdly, the head teacher and a chief of research in the Teaching-Learning communication network, the head teacher and chief of moral education in the Student Discipline and Guidanc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vice principal in overall communication network within the school are much more actively taking par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an other types of teachers. Fourthly, in order to buil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eacher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instead of focusing on balkanization by the teachers in-charge-of the same graders. In addition, we suggest a further study on analysing PDS operation in the school and the network of communication at schoo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조(Kim, Minjo). (2012).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S초등학교 사례. 열린교육연구, 20 (4), 65-87

MLA

김민조(Kim, Minjo). "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S초등학교 사례." 열린교육연구, 20.4(2012): 65-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