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중국불교에서 ‘전통’의 경쟁과 개조

이용수 219

영문명
Competition and Recreation of Buddhist Tradition in Modern Chinese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영진(Kim, Young Jin)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6輯,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중국불교에서 다양한 방식의 전통 복원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어우양징우(歐陽竟無)와 타이쉬(太虛)를 대립되는 타입의 복원자로 상정한다. 그들이 복원한 불교는 서로 달랐다. 어우양징우는 인도 대승불교 가운데 유식학을 이론적 준거로 삼았다. 그는 유식학을 통해서 전체 불교를 평가했다. 특히 유식학에 기반하여 중국불교 전통을 강하게 비판한다. 그의 생각에 따르면 선종(禪宗)이나 천태종(天台宗), 그리고 화엄종(華嚴宗) 같은 중국 고유의 불교 종파는 실체론적 성격이 강했다. 어우양징우는 이런 사고는 불교가 비판한 외도(이단)와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대표적으로 『대승기신론』을 강하게 공격했다. 타이쉬는 중국불교전통을 굳건히 지지했다. 타이쉬는 중국불교가 전체 불교 내에서 충분히 의미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인도불교나 중국불교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 틀을 제시하려 시도했다. 그것은 일종의 체계불교였다. 전체 불교 내에서 유식학도 자신의 맥락을 갖고 존재하고, 『대승기신론』도 자신의 맥락을 갖고 존재하는 것이다. 타이쉬는 이런 체계불교를 통해서 중국불교의 정통성을 주장했고, 중국불교의 부흥을 위해 가장 중국적인 불교를 강조한다. 근대 중국에서 불교 지식인들은 인도불교라는 기원과 중국불교라는 고유성을 동시에 감각했다. 불교 내부에는 이렇게 이중의 전통이 작동했고, 둘은 서로 경쟁했다. 이 과정에서 불교 전체 전통에 대한 반성이 가능했고 또한 불교의 역사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그것은 결국 새로운 전통의 구성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복수의 전통이 충돌하고 경쟁하기도 하지만 새로운 전통을 구성하기도 한다. 전통의 복원자는 결국 전통의 개조자가 될 수밖에 없다. 복원 과정에서는 늘 불교의 본래성에 대한 고민과 불교의 현실성이라는 고민이 뒤섞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archetype of Buddhism. It is not because the restoration specialists are incompetent, but rather because archetype of Buddhism is nonexistent. No matter how hard one tried, one will only end up with a montage. Buddhist traditions are constantly being reconstructed. Hence, restoration is usually just the recreation. Restoration is attempted due to discontent or criticism towards the present. Thus, it is always oriented towards the past rather than the future. Attempts to restore tradition in modern Chinese Buddhism were not aimed at recollecting Buddha’s original voice, but rather at constructing a new Buddhism. Restoration usually reflected the intention of the restorer. When there was more than one restorer, restoration displayed diverse types. In this paper, I introduced Ouyang Jingwu and Taixu, who played peculiar roles in the modern Chinese Buddhism, as the two restorers of opposing types of Buddhism. The reason I chose these two in particular is because they played contrasting roles during the similar time period. The Buddhism they tried to restore was differen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Buddhism that Ouyang Jingwu restored was Indian Mahayana Buddhism,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in particular. He judged the entire Buddhism through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m. He criticized Chinese Buddhism severely based on the Consciousness-Only theory. According to him, the unique Buddhist sectors that stemmed from China, such as Chan (Zen), Tiantai or Huayan school had strong substantialist characteristics Ouyang Jingwu thought that such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the heresies that Buddhism denounced. He fiercely criticized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dàchéng qǐxìn lùn). Wang Enyang, one of Ouyang Jingwu’s disciples, went so far as to denounce that it is not even Buddhism at all. While Ouyang Jingwu or Wang Enyang condemned the Chinese Buddhist tradition based on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Taixu supported it adamantly. Taixu did not try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Chinese Buddhism over Indian Buddhism, but argued that Chinese Buddhism had its significance within the entirety of Buddhist tradition. He attempted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ncompassed both the Chinese and the Indian Buddhism. What he pursued was a system of Buddhism. Within the Buddhism as a whole,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can exist in its own context, while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can also exist in its own context. Taixu argued the legitimacy of Chinese Buddhism based on such system of Buddhism, and underscored the Buddhism that is uniquely Chinese in order to revive Chinese Buddhism. In modern China, Buddhist intellectuals simultaneously sensed the origin of Buddhism that was India and the uniqueness of Chinese Buddhism. Within the Buddhist tradition, they were both at work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In so doing, a reflection on the Buddhist tradition was made possible, and questions about the historicity of Buddhism poured out. This eventually worked towards the construction of new tradition. Current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shares some similarity with this, in that multiple traditions exist. Multiple traditions collide and compete with one another, and such collision and competition, at times, lead to the construction of new Buddhist tradition. One that restores the tradition must inevitably be the one that recreates it. The restoration process will always entail mixed concerns about both the archetype of Buddhism and the reality of Buddhism.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전통 복원의 다양한 경로
Ⅲ. 유식학 부흥과 중국불교 반성
Ⅳ. 타이쉬의 불교개혁과 전통 수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진(Kim, Young Jin). (2012).근대중국불교에서 ‘전통’의 경쟁과 개조. 불교연구, 36 , 35-65

MLA

김영진(Kim, Young Jin). "근대중국불교에서 ‘전통’의 경쟁과 개조." 불교연구, 36.(2012):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