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혼인상태 변동: 1995∼2010년

이용수 655

영문명
The Change of Marital Status in Korea: 1995∼2010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성용(Lee, Sung Yong)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4집 3호, 34~64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센서스 표본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체, 도시와 농촌 인구의 혼인상태 변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구의 연령별 비혼구성비는, 성별과 지역에 상관없이, 혼인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했다. 2010년 현재 45∼49세 비혼구성비는 남성 8.2%, 여성 3.3%이다.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면, 여성은 도시가 남성은 농촌이 더 높은 비혼구성비를 보인다. 특히 45∼49세 농촌남성의 비혼구성비는 10.8%로, 10명 중 1명이 비혼상태로 남아 있다. 35∼44세 남성도 매우 높은 비혼구성비로 나타나(물론 농촌이 도시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한국 남성의 비혼문제는 미래에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한다. 젊은 연령대의 비혼구성비 증가는 그 연령대의 유배우구성비의 감소를 동반한다.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노인인구에서 유배우구성비는 증가했고 그것의 남녀격차도 감소했다. 1995∼2010년 농촌여성은 전 연령대에서 도시여성보다 유배우구성비가 높은 반면, 농촌남성은 특히 35∼49세 사이에서 도시남성보다 유배우구성비가 낮으나 60세 이후에는 높다. 기대수명의 향상은 1995∼2010년 연령별 사별구성비도 감소시켰다.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면, 남녀 모두 50대 이후에서 농촌이 도시보다 사별구성비가 낮다. 사별구성비의 지역차이를 보이는 연령대는 최근으로 올수록 상승하고 있으며, 그 차이는 감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혼구성비는 최근으로 올수록 급증하고 있다. 특히 결혼생활이 10여년 지난 시점인 30대 후반부터 50대까지의 이혼구성비가 남녀모두에게서 급증하였다. 여성의 경우, 도시여성이 농촌여성보다 높은 이혼구성비를 보이며 그 차이가 최근으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다. 남성의 이혼구성비는 50세 미만에서는 농촌남성이, 그 이후에는 도시남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 of marital status in Korean population, using 1995∼2010 Census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rom 1995 to 2010, the proportion of age specific never∼married persons, both male and females, has increased due to increasing age at their first marriages. The prime marital age∼periods have existed in Korea thus far, but they have gradually prolonged after 1995. In 2010, the prime marital age∼period for male has extended for 12, for female for 8 year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never∼married males aged 35∼49 has increased. At 2010, the current proportion of never∼married males aged 45∼49 is 8.2% for the whole nation, 7.4% for urban and 10.8% for rural areas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ortion of females aged 45∼49 is low: 3.3% for the whole nation, 3.3% for urban and 3.1% for rural areas. Therefore, I am skeptical about Korean males’ universal marriage, while I’m not skeptical about females’ case. Marriage for males has changed, it seems, from natural, universal to non∼volitional, selective marriages. Moreover, since the proportion of single men aged 35∼44 is still high, males’ single status will appear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future.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young, never-married persons leads to the proportion decline of marriage at younger ages. As th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in Korea, so the proportion of married elderly has increased. The marital proportion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as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both widowhood and widowerhood has declined. Finally, the proportion of divorced males and femal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has increased, especially when they reached the middle stage of their life∼cycle. The urban women show higher divorce rates than the rural women, and their divorce proportion difference has increased recent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비혼상태의 변동
Ⅳ. 유배우상태의 변동
Ⅴ. 사별상태의 변동
Ⅵ. 이혼상태의 변동
Ⅶ. 마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용(Lee, Sung Yong). (2012).한국의 혼인상태 변동: 1995∼2010년. 가족과 문화, 24 (3), 34-64

MLA

이성용(Lee, Sung Yong). "한국의 혼인상태 변동: 1995∼2010년." 가족과 문화, 24.3(2012): 34-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