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46

영문명
A Study on Care giver’s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사회혁신학회
저자명
신미선(Sin, Mi-Seon) 전은석(Jun, Eun-Seok)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혁신학회보』제3권 제1호, 115~14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5개구 노인복지시설중 비교적 요양보호사가 많은 16개 시설에서 활동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49명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완료된 조사자료에 대하여 SPSSWIN(Ver 1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 집단 전체는 현재 직무만족도 전반에 대해 약간은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요양보호사들이 직무만족 일반, 근무환경은 보통이거나 만족하는데 비해 직업 안정성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전ㆍ이직을 고려하고, 또한 보수가 적은데 에서도 전ㆍ이직을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 중 성별, 연령의 차이, 학력 차이, 경력, 급여수준, 월 근무일수, 근무동기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유의확률을 실시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종교 차이에 대한 유의확률은 .368로 나타나 요양보호사 집단 내 종교차이와 직무만족도의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경력, 급여수준, 월 근무일수, 근무동기별 직무만족도의 5가지 영역(직무만족 일반, 근무환경, 직업안정성, 인간관계, 보수 및 전ㆍ이직 관련 직무만족도)의 분산분석 결과는 독립변수별로 직무만족도의 통계학적 차이는 많이 차이가 나지 않았다. 직무만족도 일반, 인간관계, 보수 및 전ㆍ이직 관련 직무만족도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근무환경 관련 직무만족도와 직업안정성 관련 직무만족도에서 경력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많은 기대와 우려 속에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려면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선 요양보호사들이 각기 소속된 직장에서 안정된 마음으로 자신의 업무를 충실히, 최선을 다할수 있는 근무환경 여건을 마련해 주고 일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주어 이들이 평생직장으로 생각하며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하며 일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들의 처우 및 근로조건 개선을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leted a survey on 149 care-givers who are active at 16 senior care facilit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ximum value for job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be 4.56 as for 149 survey subjects. The mean value was 2.84. Thus, the job-satisfaction level was indicated to be slightly low when being based on 3.00, which is the moderate value.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the whole care-givers can be seen to be a little dissatisfied now with the whole job satisfaction. And, as for human relations with co-workers, seniors, and the elderly, the mean value was 3.55,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the highest among sub-constituent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Even as for working environment, the mean value was 3.04,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a little higher compared to the whole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job stability was indicated to be low with 2.77 in the mean value. The category of compensation and turnover was indicated to be the lowest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with 2.13 in the mean value. Second, to examine what about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in age,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career, wage level, monthly working-day number, and working motive among care-giv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test and significant probability were carried out. It was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significant probability on difference in religion was indicated to be .368. Thus, the level in religious difference and job satisfaction within group of care-givers was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OVA in 5 spheres(general job satisfaction, working environment, job stability, human relations, job satisfaction related to compensation and turnover) for job satisfaction by gender, age, academic career, religion, career, wage level, monthly working-day number, and working motive,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n’t shown much in job satisfaction by independent variable. In case of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human relations, and job satisfaction related to compensation and turno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Still, in the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related to job st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ly in career. To be successfully settl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hich was enforced in the middle of much expectation, there is necessity for being prioritized the satisfaction with job in care-givers. To do so, there is necessity for definitely prescribing legally the improvement in triotment and working conditions of care-givers so that care-givers can work while being satisfied awork ir job with thinking it as life-long work place, by arrangh thihe working-environment conditions that care-givers can do the best for their duties loyally and by increasing proper compensation and job stability for job. As for limitation of this study, it researched targeting care-givers who engage in the senior care facilities where are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reby being able to be unreasonable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ly, to solve this, a follow-up research needs to generalize findings as well by carrying out with expanding subjects of data collection into care-givers in the whole country or the broader reg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미선(Sin, Mi-Seon),전은석(Jun, Eun-Seok). (2012).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혁신학회보, 3 (1), 115-140

MLA

신미선(Sin, Mi-Seon),전은석(Jun, Eun-Seok).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혁신학회보, 3.1(2012): 115-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