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 전망
이용수 184
- 영문명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임형백(林馨佰)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0권 제1호, 265~2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riedmann은 인구이동, 자본투자, 의사결정, 혁신의 확산이라는 공간흐름에 의하여 공간구조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경제성의 원칙이 크게 작용한다. 그러나 북한은 가장 폐쇄적인 사회주의 국가이다. 따라서 공간에 경제성의 원칙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 북한은 자본주의 국가인 남한과는 다른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형성 요인으로, 첫째 공간을 통한 사회주의 이념의 표현, 둘째 공간에 대한 이념적 판단, 셋째 공간에 대한 정치적 판단, 넷째 공간에 대한 군사적 판단, 그리고 다섯째 북한식 사회주의 도시계획을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내부 변화 요인으로, 첫째 개혁·개방 전략의 모색, 둘째 경제특구의 개발을 고찰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에 외부 변화 요인으로, 동북아 공간구조 변화를 고찰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동북아의 체제 전환, 둘째 두만강 유역의 개발, 셋째 중국의 성장과 환황해경제권의 개발을 고찰하였다.
제Ⅴ장에서는 북한 공간구조의 사회주의 공간구조로의 회귀 요인으로, 첫째 김정일의 선군정치, 둘째 화폐개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Ⅵ장에서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를, 첫째 정치 논리에 따른 인위적 공간구조의 유지, 둘째 왜곡된 시장구조로 인한 비효율적인 공간구조 유지, 셋째 합리적 공간구조로의 개편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제Ⅶ장은 결론이다. 장기적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남북한의 경제협력과 북한의 대외개방을 통하여, 북한의 공간구조를 남한의 공간구조의 연계선상에서 합리적인 방향으로의 개편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형성 요인
Ⅲ.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내부 변화 요인
Ⅳ.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외부 변화 요인: 동북아 공간구조 변화
Ⅴ. 북한 공간구조의 사회주의 공간구조로의 회귀 요인
Ⅵ.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 전망
Ⅶ.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대도시의 총생산과 환경오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리더십 개발의 관계
- 여성일자리 대안으로서의 사회적 기업
- 미국의 소수인종 통합정책 탐색
- 심리적 계약위반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 정책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화재보험금에 대한 소방부담금 부과방안
- 지방교육재정 정책효과성에 관한 관련집단의 인식연구
- 지방공기업 조직관리의 실태와 발전전략
- 토정 이지함의 행정철학과 공직윤리
-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 서울특별시 자치구 간 재정 불균형에 관한 연구
- 조직진단 과정에 대한 조직진단 전문가들의 경험과 교훈
-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센터의 평가와 정책과제
- 지역산업의 구조적 분석을 통한 지역경쟁력 검증
-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 전망
- 자치구(自治區)의회의 정책기능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