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임상의학 및 생명 담론의 변화

이용수 1142

영문명
Changes in 'Modern' discourse on Clinic and Life: On Michel Foucault's Naissance de la clinique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허경(Huh, Kyoung)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23집, 24~68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1963년 서구 의 학사 및 생명 개념의 이해에 있어 거대한 인식론적 단절을 이루었던 ‘해부임상의학의 탄생’을 다룬 저작 『임상의학의 탄생』을 출간했다. 9년이 흐른 1972년 푸코는 저작의 수정판을 출간한다. 초판으로부터 수정판으로의 변화는 시니피앙ㆍ시니피에의 주석 및 의미론적 추적으로부터 담론분석 에로의 변화와 일치한다. 저작은 서구 근대의 시기에 있었던 의학 및 생명 담론의 변화 곧 임상의학 탄생의 역사적 조건들을 추적하는 고고학적ㆍ계보학적 탐구이다. 푸코는 1769년의 폼이라는 의사 그리고 그로부터 정확히는 56년 후인 1825년 벨이라는 의사의 글을 비교하며 글을 시작한다. 양자의 차이는 다름 아닌 비샤(Marie François Xavier Bichat)와 브루세(François Broussais)에 의해 이루어진 생명 관념 및 그에 따르는 의학 관념 자체의 변화이다. 식물학의 모범을 따르는 고전의학의 질병분류학은 이제 해부임상의학의 질병관으로 대체된다. 비샤의 생기론에 의해 탄생한 ‘생명-질병-죽음’의 삼위일체는 죽음을 꼭짓점으로 하여 완전히 새로운 생명ㆍ의학 담론의 구성을 보여준다. 르네상스 이래 18세기까지 개별적인 것의 파괴로 여겨졌던 죽음이 19세기 초에 오면 ‘병리학적 생명’의 개념과 연결되면서 ‘개체성의 과학’을 가능케 한다. 이렇게 생명 관념에 대한 혁명적 변화를 초래한 해부임상의학의 탄생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동시대의 산업혁명, 프랑스대혁명, 자유주의 및 감시체제의 성립, 과학, 문학, 철학, 화학 등의 발전과 동시적으로 서로를 구성한 거대한 근대 에피스테메로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변화한 것은 어떤 하나의 개념 혹은 이론이 아니라 그러한 개념과 이론을 가능케 했던 지식의 장, 에피스테메 자체의 변화이다.

영문 초록

In 1963, Michel Foucault(1926-1984) published Naissance de la Clinique which deals with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birth of the Clinic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in Western Europe, through archeological and genealogicalmethodologies. In 1972, he published its 'revised' version which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 from the theory of comments of signifiant/signifié to that of discourse analysis. Foucault compares the writings of 1769 of a french doctor Pomme to those of 1825 of another french doctor Bayl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between nosology following the model of botanical classification system and anatomo-clinical medicine following Bichat's vitalism which companies ironically with a certain kind of mortalism. In the clinical medicine, there is a trinity death-life-disease. Bichat made a corner stone for the modern clinical medicine by making death as a foundation for life and individuality. Broussais, a successor of Bichat, finally accomplished the long march of anatomo-clinical medicine by transforming the substantial idea of disease into a new idea of disease as defined by localization. Thus, new notions of life, vitalism, medicine and individuality had been set up firmly. That brought the birth of the clinic were, not isolated changes in the aspects of terms, notions or theories, but the epistemological field itself of the knowledges(savoir) which made them possible.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푸코의 임상의학 및 의학에 대한 관심
2. 『임상의학의 탄생』, 판본학적 문제
3. 『임상의학의 탄생』 국역본의 번역학적 문제
4. 『임상의학의 탄생』(1972) - 담론 분석
5. ‘근대’ 의학 담론의 분석
6. 방법론의 변화: 시니피에/시니피앙’로부터 ‘역사적 담론 분석’으로
7. 근대 의학사의 인식론적 단절 - ‘진리놀이들’
8. ‘임상의학-진료소’의 탄생
9. 비샤와 병리해부학: 죽음과 ‘생기론’
10. 브루세의 혁명: 공간적 탐구의 확립
11. 나가는 말: 말과 사물 혹은 사물의 질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경(Huh, Kyoung). (2012).근대 임상의학 및 생명 담론의 변화. 생명연구, 23 , 24-68

MLA

허경(Huh, Kyoung). "근대 임상의학 및 생명 담론의 변화." 생명연구, 23.(2012): 24-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