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 빈치, 스페로, 크루거의 미술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웃음과 저항성

이용수 306

영문명
Women’s Laughter and Resistance in Arts of Leonardo da Vinci, Nancy Spero, and Barbara Kruger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김경희(Kyunghee Kim)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여성연구논집 제22집, 95~11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낸시 스페로, 바바라 크루거의 미술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웃음과 저항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다 빈치는 「모나리자」, 「두 명의 성녀와 아기 예수」, 「성요한」을 통해서 그의 어머니 카트리나의 웃음을 그려내고 있다. 그는 카트리나의 원초적 나르시시즘과 동일시하는데, 나르시시즘은 여성의 특징이고, 잠재재인 저항의 장소이다. 다 빈치의 웃음과 어머니의 나르시시즘을 연결시켜 여성의 저항성을 드러낸다. 스페로는 「커피 테이블 쉴라」, 「첫번째 언어」, 「사제들 벌벌 떨게 하자」를 통해서 파편화되고, 반복적인 다의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여성의 몸을 나타내고 있다. 그녀의 작품에는 파괴적이고 재생산적인 웃음의 이미지는 계급중심적이고, 젠더 중심적이며, 위계질서 중심적인 개념을 전복한다. 웃음을 여성의 육체성과 연결하여 웃음과 육체의 전복성을 주도한다. 크루거는 「무제: 당신의 몸은 전쟁터이다」, 「무제: 당신의 응시는 나의 얼굴 옆면을 주시한다」, 「나는 소비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를 통해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조합하여 페미니즘적 저항과 그 정치성을 드러내고 있다. 일반대중들에게 친밀한 대중매체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차용하여 기존의 이미지를 비판하고 다른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작품 통해서 은유적이고 풍자적으로 접근한다. 가부장제도 사회에 편재되어 있는 젠더와 언어의 정치성을 드러내고 이를 비판한다. 따라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을 통해서 그의 생모인 카트리나의 쾌락의 원천인 나르시시즘 승리로서의 웃음을, 낸시 스페로의 작품을 통해서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한계가 없는 역동적인 육체성을 지닌 웃음을,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을 통해서 가부장제 사회에서 규범화 되어 온 젠더와 언어의 정치성을 뒤집는 전복적인 웃음을 도출했다. 이 세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여성들의 웃음과 여성의 몸 이미지는 저항성을 지니고 있고, 이 저항성은 여성의 몸짓, 즉 제스처가 바로 여성의 언어가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women’s laughter and resistance in arts of Leonardo da Vinci, Nancy Spero, and Barbara Kruger. Women’s laughter can be thought of as a metaphor for transformation of the cultural change. So the paper connects women’s laughter with Freud’s the triumph of narcissism, Bakhtin’s grotesque bodies of women and the carnival laughter, and the politics of gender and language. In “Mona Lisa”, “St. Ann with Two Others”, and “St. John the Baptist”, da Vinci links the smile of the Mona Lisa to the laughing women and then to Lenoardo’s mother, Catherina. The smiling women are repetitions of Catherina. This discovery suggests the impetus for Leonardo’s artistic production derives from a maternal identification, more specifically, an identification with a woman who maintained a primary narcissism. The narcissism is a potential site of pleasure and resistance. Spero’s works including “Coffee Table Sheela”, “Codex Artaud”, “The First Language” and “Let Priests Tremble” are rooted in carnivalesque. It is radical laughter which is, in effect, a strength of the law, or satire. And Spero’s works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explosive politics of women’s body, the way the body ‘speaks’ of social relations, the historically variable nature of the body, and the relations among body image, social context, and collective identity. In “Untitled: Your Body is a Battleground”, “Untitled: Your Gaze Hits the Side of My Face”, “Untitled: I Shop therefore I Am”, Kruger aims at discovering the conventions and images of mass-media and power of language. Her works are disrupted by witticism or pun, the colloquialism of the marketplace, operating like a meta-language athwart her work, annihilating the domination by the challenge of non-sense. In conclusion, the disruptive, ever-renewing laughter of da Vinci, Spero and Kruger is the antithesis of the static, hierarchical conception of the world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a class- and gender-based society. The laughter transgresses the established, the authorial, the didactic, the dogmatic.

목차

초록
Ⅰ. 모나리자의 웃음 - 나르시시즘의 승리
Ⅱ. 낸시 스페로의 웃음 - 여성의 육체성
Ⅲ. 바바라 크루거의 웃음 - 젠더와 언어의 정치성
Ⅳ. 여성의 웃음과 저항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yunghee Kim). (2011).다 빈치, 스페로, 크루거의 미술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웃음과 저항성. 젠더와 사회, 22 , 95-114

MLA

김경희(Kyunghee Kim). "다 빈치, 스페로, 크루거의 미술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웃음과 저항성." 젠더와 사회, 22.(2011): 95-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