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인(匠人)의 ‘일터’ 인식론과 교육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함의

이용수 275

영문명
How can masters teach their tacit knowing at workplace?: Its epistemological-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chool reform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배영주(Bae, Youngju)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1호, 23~4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터에서 살아 움직이는 장인의 앎과 교육을 참조하여 학교 교육의 인식론적, 교육적 전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현대 인식론은 전통적 인식론과 달리, 이론과 실천, 이성과 감성, 마음과 몸, 그리고 앎과 행위가 인간의 삶 속에서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로 작동한다고 말한다. 또한 일상적 삶의 장소에서 수행되는 장인의 앎과 교육활동에서 보듯, 모든 종류의 앎은 암묵적 차원을 지니고 있어서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전달되기 어렵고, 공감적 예시와 장면 서사, 은유 등의 비표상적 언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성적 교수방법에 의해 가르쳐질 수 있음이 지적된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이원론적인 근대 철학의 인식론적 가정에 근거하여 앎은 언어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삶의 체험이나 실천은 이론적 지식 학습에 방해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어, 학습자의 일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의 실천성을 앗아가게 된다. 연구자는 학교의 인식론적 전제가 근거 잃은 시대착오적임을 지적하고, 일터에서 작동하는 실천의 인식론과 교육을 가능한 만큼 학교에 구현하는 일이 학교교육의 혁신을 도모하는 일일 뿐 아니라, 앎의 상품화, 교육의 도구화, 비인간화와 같은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epistemological and educational presuppositions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tant reference to master's knowing and teaching alive at his workplace. Present epistemological studies state that, contrary to the emphasis of classical epistemology, theory and practice, reason and emotion, mind and body and knowledge and knower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y are integrated as one in actual life situation. Furthermore, present studies emphasize that all kinds of human knowing have their tacit dimension and master’s knowing or abilities to be representative as tacit and ineffable knowing. Such master's tacit knowing can hardly be transferred to his apprentices by traditional linguistic interactions. It can be actively taught through some reflective teaching methods using non-representational languages such as empathetic indication, scene narrative and metaphors. However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several traditional dualistic epistemological presuppositions, and it presupposes that knowing can be expressed in linguistic form and life-experience or practice can be obstacles to learning theoretical knowledge. These epistemological presuppositions of school education are groundless and outdated; academics have to deal with the misdirected school education system.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very useful to think about some concrete ways to totally reform school education and overcome some side effects of school education such as commodification of knowledge, instrumentalization of education and dehumanization.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삶속에서의 교육을 망각한 학교 교육
Ⅱ. 학교교육의 도구화와 앎의 상품화, 그리고 인간 본질 상실
Ⅲ. 일터의 인식론과 교육론
Ⅳ. 학교 교육의 인식론적 전제와 교육관 반성
Ⅴ. 맺음말: 교육의 장인들이 활동하는 학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영주(Bae, Youngju). (2012).장인(匠人)의 ‘일터’ 인식론과 교육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함의. 열린교육연구, 20 (1), 23-44

MLA

배영주(Bae, Youngju). "장인(匠人)의 ‘일터’ 인식론과 교육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함의." 열린교육연구, 20.1(2012): 2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