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이용수 523

영문명
Nationalism and State-Building in Post-Soviet Georgi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현승수(Hyun, SeungSoo)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9권, 211~2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25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앙아시아와 카프카스의 모든 구소련 국가들은 숙명처럼 다민족 사회를 국민국가로 수렴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선택지, 즉 문화적으로 단일한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타자를 배제하는 종족 국민주의, 혹은 영토 내에 존재하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집단들을 인정하면서 국민 합의에 기초한 통합 국가를 건설하는 시민 국민주의 중 하나였다. 그러나 조지아의 경우, 2003년 발생한 장미혁명을 계기로 종족 국민주의가 억제되고 혁명적 국민주의가 대두되었다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 주장이다. 혁명적 국민주의는 정치적 혁명을 통해 구체제를 타도한 정권이 영토 내에 존재하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집단들을 강제적으로 통합하려 시도하고, 또 정치적 혁명의 이상(理想)과 성과를 수호하기 위해 혁명의 적과 외부의 적을 상정한다. 독립을 전후한 1990년대 초, 조지아에서는 취약하거나 부재한 정치 제도의 결핍을 보완해 주는 하나의 대체물로서 조지아 민족의 혈통을 강조하는 종족 국민주의가 강하게 부상했다. 그러나 장미혁명으로 권력을 장악한 사카슈빌리 정권 하에서 국가와 정부의 역량이 강화됨에 따라 행정 및 강제 제도가 정비되자 조지아인 중심의 종족 국민주의는 억제된 반면 혁명적 국민주의와 이를 제도적으로 강화시켜줄 국가주의가 대두되었다. 그 결과 러시아와의 전면 전쟁이 초래되었으며 국민국가 형성도, 또 혁명의 이상인 민주주의도 불완전하고 왜곡된 형태로 남아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state-building, nationalism and conflict in Post-Soviet Georgia, focusing on variation in institutionalization and varieties of nationalism. According to Snyder, ethnic nationalism is characteristic of societies with the most belated development. The state is rudimentary and institutions are weak or non-existent. The political leadership lacks institutional levers to attach people to politics and so resorts to ethnic nationalism. By comparison, revolutionary nationalism is characteristic of societies where administrative and coercive institutions are either preserved or have been reestablished, but where participatory institutions are not sufficiently developed to enable accommodation. We argue that these two types of nationalism can be mapped onto the state-building process in Georgia. Whereas Georgia’s ethnic nationalism substituted for political institutions under the Gamsakhurdia’s and Shevardnadze’s failed authorities in 1990s,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enhance revolutionary nationalism after 2003 revolution. By strengthening the state’s capacities, Saakashvili succeeded in inhibiting his country from returning to ethnic nationalism. However, revolutionary nationalism led Georgia down an adventurist path to violent conflict and failed in achieving its goals.

목차

〈국문 개요〉
1. 머리말
2. 문제를 보는 시각: 국민주의와 제도화, 분쟁의 상관관계
3. 독립 조지아에서의 국민주의
4. 혁명적 국민주의와 분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승수(Hyun, SeungSoo). (2012).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동유럽발칸연구, 29 , 211-238

MLA

현승수(Hyun, SeungSoo). "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동유럽발칸연구, 29.(2012): 211-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