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의 복합 장소전치사구에 대한 핵계층구조적 접근

이용수 10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생성문법학회
저자명
안성호(Sung-Ho Ahn)
간행물 정보
『생성문법연구』제21권 제4호, 779~79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Baker (1989)가 관찰하여 핵계층구조를 따르지 않는 구절구조 규칙 (14)의 근거로 삼은 영어의 복합 장소전치사구의 구조가, PP를 지정어로 인정하고 back이나 up 등을 전치사로 분류하면서 (4절 참조), 핵계층구조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였다. 이는 Baker가 제안한 LocSeq라는 구 범주 대신 (25)와 같은 제도적 (cartographic) 구조를 영어전치사들이 어휘의미의 일부 혹은 통사 구조로 지니고 있다는 가정도 내포한다. 그에 따라, Baker가 찾아낸 LocSeq의 성분범주들이 자매항들로서가 아니라 핵-보충어 관계로 맺어지게 되었고 그 상호적 의미관계도 더 포착되었다. 남아 있는 문제 하나는 right의 분포이다. 한 〈생성문법연구〉 논평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본 분석에 따르면 right는 어떤 전치사의 지정어로나 기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예들도 수용적일 것으로 예측한다. (35) a. [back up [pp [right over there] [p in the corner]p]pp] b. (back up [pp over [pp right in the corner]pp]pp] Baker (1989)는 이런 가능성들을 경험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Frederick Schroeder (2011. 11. 22, 사적 논의)도 (35a)에서 up과 right 사이에 쉼표가 들어가지 않는 한 이들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그가 옳다면 본 논문의 현재 제안이 과잉생산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25)의 제도적 구조를 좀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서 right는 전체 장소전치사구의 최상위 투사의 지정어로 기능해야 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듯싶다. right의 기능과 의미에 대하여 더 깊이 천착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로, 영어에 대한 이 제안을 화란어를 기반으로 하여 Dikken (2006) 등이 제안한 장소 전치사구의 제도적 구조와 비교하는 등의 연구를 통하여 영어와 화란어 사이의, 또 다른 언어들과의 매개변항적 변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탐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 explor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plex locational PP in English. Reviewing its standard analysis provided in Radford (1988), it points out a problem with the analysis. In section two, then, it reviews Baker’s (1989) observation of major properties of the complex locational PP and his quite descriptive phrase-structure rules to account for them, and points out that those rules are not subject to the X-bar theory. In section three, it explores ways to account for the properties in a more principled way amenable to the X-bar theory. It suggests a cartographic structure comprising functional categories representing the concepts of “restoring”, “path” and “distance” that can dominate locational PPs. In section four, it argues and shows that back is a preposition optionally requiring a PP complement only. Finally, in section 5, it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presents remaining problems.

목차

1. 서론: 전치사구의 구조
2. Baker (1989)의 LocSeq
3. 복합 장소전치사구에 대한 핵계층이론적 접근
4. 전치사 Back
5.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성호(Sung-Ho Ahn). (2011).영어의 복합 장소전치사구에 대한 핵계층구조적 접근. 생성문법연구, 21 (4), 779-792

MLA

안성호(Sung-Ho Ahn). "영어의 복합 장소전치사구에 대한 핵계층구조적 접근." 생성문법연구, 21.4(2011): 779-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