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성 교육의 개념 정립과 그 과제

이용수 701

영문명
Issues Regar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팽영일(Paeng, Yeong-il)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5권 제3호, 221~2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진행된 창의성 연구들을 중심으로 창의성에 관한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탐색해 보고, 현재 우리나라의 창의성 교육의 과제를 창의성 또는 창의성 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교육과학기술부의 창의ㆍ인성교육의 기본 방안 을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창의성 교육의 올바른 실천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창의성 개념 정립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창의성 교육을 위한 기준으로서의 창의성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창의성의 기준이 내적 가능성의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의 내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교육적인 선택 기준을 어디에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지를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은 교육의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중시해야 할 교육이며, 따라서 교육적인 면에서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다양한 측면의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생각할 때 우리들이 창의적이라고 평가하는 것도 또한 시대적 환경적 산물임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creativity has changed during the years by reviewing the studies of creativit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especially educational psychology), and to discuss the reality of creativity education and its future tasks in the aspect of creativity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I proposed the considerations regarding creativity education focused on 「The primary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when def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this task is more than establishing its universal attributes because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can diffe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 or in a subordinate level or fiel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when focusing on determ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as a standard in creativity education, we have to consider these aspects as follows : First, the standard of creativity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ntrinsic value, based on the thought that creativity enhances inner potential. Secon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which consist creativity, we should deliberate the priority of these factors as selection criteria in education. Third, creativity education puts more emphasis in the process, not the results. Therefo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various levels and forms and our assessment as something being “creative” is also a product of time and environment.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창의성 교육 개념의 현 주소
Ⅲ. 창의성의 개념적 기준
Ⅳ. 창의성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팽영일(Paeng, Yeong-il). (2011).창의성 교육의 개념 정립과 그 과제. 교육사상연구, 25 (3), 221-243

MLA

팽영일(Paeng, Yeong-il). "창의성 교육의 개념 정립과 그 과제." 교육사상연구, 25.3(2011): 221-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