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64

영문명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up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Leadership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김해룡(Kim, Hae-Ryong) 김쌍언(Kim, Ssang-Un)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집 4권, 199~2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무한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과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로서 혁신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창의성과 혁신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창의성 및 혁신과 관련된 기존연구들은 선행요인들을 규명하려는 노력 속에 개인차원 특성과 상황차원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각 차원의 특성들 간의 복합적 영향 즉, 상호작용에 이르기까지 연구범위를 확대해왔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주로 내재적 동기부여 이론적 기반만을 채택하고 있어 내재적 동기부여 외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혁신이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탐구하는 연구들이 양적과 질적 모든 측면에서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에 영향을 주는 환경차원 특성인 직무자율성과 개인차원 특성인 셀프리더십을 동시에 포함하면서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셀프리더십의 작용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적 증거를 조사하였다. 표본은 A광역시에 위치한 금융․보험 회사에 근무하는 종업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260매의 완성된 설문지 응답들로부터 획득된 자료들은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자율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셀프리더십의 하위 전략들(행동지향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 전략)은 혁신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고 직무자율성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전략들 각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하위 전략들 가운데 행동지향적 전략과 자연적보상 전략은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에 부분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들은 내재적 동기부여 메커니즘 외에 다른 메커니즘의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으며, 선행요인들 간에 영향관계에 대한 보다 큰 관심을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 창의성 및 혁신 관련이론과 셀프리더십이론의 발전에 기여하였고, 상호 연구결과의 공유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실무적으로는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직무자율성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며 셀프리더십의 함양을 촉진함으로써 그 효과는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Recognizing that innovation is one of the elements necessary for surviving and growing in the boundless global competition,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ssu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Previous research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h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nd situational context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identifying antecedent variables and extended the boundary of the research to the complex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wo contexts. However, prior study usually tending to adopt mainly internal motivation theoretical perspective has limited effort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to explore the antecedent variables to influ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on the basis of mechanisms including other factors. This study includes job autonomy from situational context and self-leadership from personal context, suggests as one of different mechanisms self-leadership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develops the research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examines the empirical evidences to support the hypotheses. Sample was se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of banking and insurance industry located A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260 employees. It is foun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at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s innovative behavior, self-leadership strategies(behavior-focused, natural rewar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positively influence innovative behavior respectively, and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s three self-leadership strategi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natural reward strategies partially medi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of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All the relationships support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It is revealed with all the findings that job autonomy as work environmental context influence significantly innovative behavior and self-leadership strategies work as a mechanism in which job autonomy influences innovative behavior.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another mechanism in addition to internal motivation mechanism adopted in prior studies and of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antecedent variables. Additionally, this study advances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related theory and self-leadership theory and indicates the benefit of sharing finding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wo theories. Practicall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utonomous work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facilitating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self-leadership can be used for expanding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innovative behavior.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연결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가설검증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해룡(Kim, Hae-Ryong),김쌍언(Kim, Ssang-Un). (2011).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5 (4), 199-229

MLA

김해룡(Kim, Hae-Ryong),김쌍언(Kim, Ssang-Un).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5.4(2011): 199-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