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이용수 795

영문명
Work-life Unbalance in an Overworked Society: Gendered Responses and Changes from the Life Course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우명숙(Woo, Myung-Sook)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3집 3호, 127~1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대 고학력화의 본격적 세대의 여성들이 세계화로 인한 노동시장의 구조변동의 맥락에서, 직장, 결혼, 출산, 양육 등의 생애단계를 밟으면서, 일과 가족 관계의 재조정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생애과정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의 대상인 70⋅80년대 초 출생 대졸 여성들은 고학력자로서 강한 노동정체성을 가졌으며 동시에 친밀한 공간으로서의 부부중심 핵가족에 대한 가족정체성을 가졌다. 그러나 이 여성들은 경쟁주의적 노동규범을 부추기는 노동시장 구조, 그리고 한편으로는 ‘가족최소화’ 전략,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 생계부양자 핵가족 규범을 내세우는 남편과의 젠더관계 구조에서 자신들의 노동정체성과 가족정체성의 불편한 공존을 체험하게 되었다. 이 여성들의 일-가족 관계의 재조정 과정과 대응들은 일-생활 불균형을 초래하는 사회구조들의 실체를 드러나게 해주었으며, 동시에 구조 재생산의 불안정성과 균열, 그리고 구조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ways in which highly educated women have reshaped the work-family relations when they, situa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labor market under the influences of globalization, have taken their life courses - employment, marriage, child-bearing, and child-care. These women who were born in the early 70s and 80s are the first cohort group who benefited from Korea's rapid diffus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the 1990s. In-depth interviews are utilized in the analysis from the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cohort group of women, university graduates born in the early 70s and 80s, acquired a strong 'work identity', and 'family identity' oriented toward an intimate couple-centered nuclear family as well. These women, however, experienced the unbalanced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identities. They faced a very competitive and flexible labor market structure with long working hours on the one hand, and they had to deal with the gender relations structure shaped and actualized by their husbands' life patterns and choices to either pursue market-conforming work norms and lifestyles or to strengthen male breadwinner family model on the other hand. These women's responses in reshaping the work and family relations disclosed the structural entities that had brought about the work-life unbalance. Furthermore, they manifested the instability of structural reproduction,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chang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분석틀
Ⅲ. 성장경험: 일-가족 관계의 경험을 중심으로
Ⅳ. 과잉노동사회의 노동정체성: 젠더화된 패턴과 대응
Ⅴ. 과잉노동사회의 젠더화된 일-가족 관계의 재구성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명숙(Woo, Myung-Sook). (2011).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가족과 문화, 23 (3), 127-160

MLA

우명숙(Woo, Myung-Sook). "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가족과 문화, 23.3(2011): 12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