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강본류유역 고인돌유적의 성격

이용수 576

영문명
A character of Dolmen's in an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오대양(Oh, Dae-Ya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79號, 49~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로서 다른 유적보다도 그 모습이 쉽게 눈에 띠어 일찍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현재까지의 조사에 의하면 한강본류유역에는 총 362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한강하구일대의 서해안지역과 인접한 곳에 집중된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강변에 인접한 지역보다는 각각의 대ㆍ소하천을 중심으로 크게 5개의 밀집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류에서 상류로 올라갈수록 고인돌 수와 밀집 정도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제Ⅰ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5㎞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당시 사회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사회였으며, 고인돌이 축조되어진 중심연대는 기원전 10~8세기 정도로 추정된다. 또한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고인돌이 존재하며, 이 단계에는 밀집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배계층이 등장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제Ⅱ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2㎞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이곳은 위치상 서해안지역과 근접해 있어 인접한 강화지역 및 한강하구의 Ⅰ밀집군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인돌을 비롯한 관련유적에서 찾아지는 유물 역시 Ⅰ밀집군과 유사성을 보여 서로 비슷한 생활환경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경안천유역에 해당되는 제Ⅲ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15㎞ 정도의 생활 영역을 가진다. Ⅲ밀집군에서는ⅠㆍⅡ밀집군과 마찬가지로 무덤이외의 상징적인 기능을 가진 대형의 탁자식 고인돌이 존재하여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제 Ⅳ밀집군과 Ⅴ밀집군에서는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고인돌유적이 없어 구체적인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탁자식 고인돌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좁은 범위 내에 개석식 고인돌이 수기씩 모여 있는 점으로 미루어 비교적 소규모의 집단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생각 해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이 한강본류역의 고인돌문화는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형적ㆍ환경적 여건을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고인돌 축조집단간의 사회발전정도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e Dolmen is the representative tomb type of the Bronze Age. As the appearance is more notable than other relics, it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many peop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so far, there are a total of 362 dolmen scattered in the areas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y are mainly clustered in the western riverbank area near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lso, five big clusters of dolmen were formed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small and large sized rivers, rather than in areas close to the riverside. Progress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river to the upper part, the number of dolmen and density decrease. First,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I were built 25㎞ in diameter. The society at that time was based on farming and the main period is suspected to be 10-8 B.C. In that period, there were dolmens that were built at the stage where an hierarchicalstructure was established. In this stage, it is assumed that a special rank appeared that could exert power over the whole Cluster Group. Secon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Ⅱ diameter measured 22km. Since it was close to the western coastal area geographically, we can consider the correlation with nearby Ganghwa Region and Cluster Group I of the estuary region of the Han River. The relics found at the relic site including dolmen also showed similar properties to those of Cluster Group I,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d a similar living environment. Thir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Ⅲ, subject to Kyungan Brook, measured 15km. in diameter. In Cluster Group Ⅲ, a large-sized table-type dolmen which has a symbolic function other than that of a grave exists, much like Cluster Groups Ⅰ and Ⅱ. The society in this stage reached the level of tribal society where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ternally. As for Cluster Groups Ⅳ and Ⅴ, there has been no excavation survey of the dolmen. Hence, specific properties are not identified. One thing we could learn from the fact that dense relics of the Grip-type dolmen were found in a narrow scope while there were noTable-type dolmens. It indicates that small groups of people gathered to live here. As for the dolmen culture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distributed region of the dolmen. It is believed that such difference came from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in which dolmen were located as well as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and it represents the degree of social development between the dolmen builder groups.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1. 분포양상
3. 고인돌의 특징
4. 고인돌 사회의 구조
Ⅴ.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대양(Oh, Dae-Yang). (2008).한강본류유역 고인돌유적의 성격. 백산학보, (79), 49-76

MLA

오대양(Oh, Dae-Yang). "한강본류유역 고인돌유적의 성격." 백산학보, .79(2008): 4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