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연구

이용수 219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Information Privacy In Organizations - Measurement Model Validation -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이동진(Lee, Dong Jin) 김정식(Kim, Jeong Sik)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18권 제3호, 81~10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식정보화 시대에 조직은 환경의 불확실성이 점차적으로 높아질수록 조직 외부적으로뿐만 아니라 조직 내부적으로도 정교한 의사결정을 위해 종업원들에 대해 더 많은 자료와 정보의 수집과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 조직내 근로자들의 정보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에 대한 염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조직들마다 정보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노력의 정도와 정보활동관행 및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정보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는 잠재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직과 개인간 갈등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연구들에서는 조직에 의한 구성원들의 엄격한 통제는 개인의 자유와 품위를 훼손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문화, 가치 그리고 개인적 성향이 조직내 정보프라이버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데,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국내기업의 근로자표본에 기반하여 정보프라이버시 측정모형에 관한 타당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그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정보프라이버시의 척도는 개인주의 정서와 프라이버시가 강조되고 있는 미국적 상황에서 개발되고 제시되고 있는 기존 모형에 준거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서구적 상황에서 타당화된 기존의 척도를 이용하여 한국적 상황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하면서 탐색적 연구와 확인적 분석에 의해 측정모형의 요인 및 이론구조를 규명하고 있다. 계속해서 검정된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조직내 구성원들이 느끼고 있는 내재적 동기와 구조적 관계를 실증고찰함으로써 정보프라이버시 척도의 법칙론적 타당화(nomological validation)를 하고 있다. 정보를 둘러싼 조직의 효율성과 종업원들의 절차적 공정성 지각간에 문제제기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던 가운데 집단주의 정서가 강했던 한국사회가 이미 개인화 성향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조직내 정보프라이버시 이슈의 중요성을 점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조직의 결과(예: 조직시민행위, 창의적 성과 등)를 관리하기 위한 독립변수로서 종업원들의 정보프라이버시 인식과 태도를 고려하는 조직내 실증연구를 국내에 본격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mong workers who face increasingly invasive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demands from their organizations. Simultaneously, organizations have an increasing need to monitor and control members who may jeopardize the security of organizational assets. This is an individual-organization tension, which came from the issue of privacy emerges because of a fundamental tension between organizational needs and individual rights. For establishing the area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ivacy within Korea’s contexts, this research validate measurement models that allow researchers to gap the different sub-dimensions of the construct and empirically test how information privacy perceptions relate to employee’s attitude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valid measurement model for information privacy, first evidence linking employee’s information jud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ithin Korea’s organizational contexts. Alge et al. (2006), Sundstrom et al.(1980) etc. explain that workers in certain industry(i.e., knowledge intensive units) may be more sensitive to privacy violations.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iscern how contextual factors(e.g., industry, control system characteristics etc.)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gathering and control initiatives and individual freedom or priva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진(Lee, Dong Jin),김정식(Kim, Jeong Sik). (2011).조직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8 (3), 81-103

MLA

이동진(Lee, Dong Jin),김정식(Kim, Jeong Sik). "조직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8.3(2011): 8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