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언어장애군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 측정을 위한 지시하기과제 개발 예비 연구

이용수 1510

영문명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Pointing Tasks Developed for Clinical Populations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2호, 185~20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언어처리과정과 관련된 언어-인지적 근본기제로서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단기 및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평가 과제는 제한적이다. 무엇보다도 구어산출 과정에 문제가 있는 장애군의 경우 구어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따라말하기와 같은 과제로 단기 및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는 것은 이에 관한 결과가 교락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를 다양화하고 구어산출이 아닌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여 개발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말언어장애군의 기억기제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단기 및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예비연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숫자폭 과제(숫자 바로 및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였으며 단어폭 지시하기(단어 바로 및 거꾸로 지시하기)과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알파벳폭 및 빼기-2 과제를 한국어로 수정-보완하여 지시하기과제로 개발하였다. 총 55명의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새롭게 개발된 과제들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재검사 신뢰도의 과제 별 피어슨 상관계수 범위는 .43~ .77이었으나, 두 개 이상의 과제를 조합하여 복합과제점수를 사용할 경우 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65~.86으로 향상되었다. 숫자폭 과제의 경우 기존의 따라말하기과제와 지시하기과제 간의 공인타당도 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49~ .63으로 같은 자극물이지만 산출 양상에 따라 총분산의 25%~40% 가량만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및 작업기억 과제 별 구인타당도를 살펴보면, 단기기억과제인 숫자 및 단어 바로 지시하기과제는 .7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네 가지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주성분분석 결과에 따르면 하나의 요인이 총분산의 6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별 문항 내적일치도는 .72~ .73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합 과제를 사용하였을 때 신뢰도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및 주성분분석 결과 또한 영어권 연구와 유사하였다. 향후 연령층을 다양화하여 연령이 과제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산출 양상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deficiencies in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individuals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developed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and/or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that do not require verbal output and thus can be used to asses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in special populations with verbal-output deficits. The specific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test-retest reliability,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item consistency in newl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Methods: Digit forward and back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developed by adapting the most commonly used digit forward/backward recall tasks to pointing measures. An alphabet pointing span task and a subtract-2 pointing span measure were developed as working memory tasks. Fifty-five normal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performed all of the tasks. Resul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revealed that the rang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43~0.77. However, test-retest reliabilities increased up to 0.86 when a composite measure was used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fferent tasks. Concurrent validity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inting version of the digit span measures shared only 25~40% of the total variance with the standardized measure of the digit span-recall. As short-term memory measures, digit and word for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highly correlated (r=0.79).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66% of the total variance for four different working memory pointing task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Waters and Caplan (2003), reporting composite measure increased stabilities and reliabilities for the working memory measures and all of the working memory tasks loaded onto a single facto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output-modality on these tas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지은(Jee Eun Sung). (2011).말언어장애군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 측정을 위한 지시하기과제 개발 예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2), 185-201

MLA

성지은(Jee Eun Sung). "말언어장애군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 측정을 위한 지시하기과제 개발 예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2(2011): 185-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