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용장구』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9

영문명
A Study on the Discussion on Ghost of Jooja in Joongyong (The Principle of the Mea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안영탁(Ann, Young-Tak)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2권 제1호, 273~29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연구목적은『중용』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이해를 통하여 귀신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조상신과 제사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정립하는 데에 있다. 음과 양이라는 두 기의 굴신왕래의 적용 그 자체가 귀신이므로, 귀신은 자연 현상의 두 측면을 지칭하므로, 천지의 조화는 다 귀신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에 따르면 귀신은 일물(一物)이 아니다. 주자는 귀신이 일물이 아니다 라는 생각을『중용』제16장의 체물(體物) 개념에서 찾고 있다. 또한 주자는 제사의 대상이 되는 죽은 조상들의 신령을 언급하는데 그 이유는 제사가 주자는 물론 유가의 사대부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사람이 그 명을 다하면 그 기는 흩어지지만 곧바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기 때문에 제사를 통하여 그 자손이 예로써 공경을 극진히 한다면 조상의 혼백을 불러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귀신에 대한 주자의 일관된 하나의 입장은 미신에 대한 부정과 반대이다. 특히 그는 이 세상의 모든 사물과 현상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고 믿었던 기의 속성들과 작용을 넘어서는 초자연적 존재와 힘을 인정하는 것을 배격하였다. 주자의 주장은 천지만물에 존재하는 것은 생생불이하는 변화 속에 있는 것이고 그 변화의 조화가 귀신이므로 이러한 음양의 이치를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은 세상에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다. 주자의 귀신론은 전통적인 효 사상이 메말라가고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제사를 통한 후손들의 효에 대한 의미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게 하며 당시는 물론 오늘날에 있어서도 귀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미신적 이해를 일소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discussion on ghost by Jooja, to newly establish the understanding about ghost and about ancestral spirits and ancestral rites. Since ghost is the application itself of bending, stretching, coming and going of the two kinds of Gi(life force), yin and yang, ghost represents two aspects of natural phenomenon. Therefore, all of the creation, change and existence of universe is ghost. Therefore, Jooja pointed out that ghost is not one, citing the 16th chapter, chemool section of Joongyong. He also mentioned ancestral spirits which are objects of the ancestral rite, because the rit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to Confucian noble men including Jooja. His position was that, when a man dies, his gi dissipates, but it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and that if offsprings hold the rite sincerely and respectfully, they can recall ancestors’ spirits. However, one of his consistent positions on ghost was the denial and objection to superstition. Especially, he refused to accept supernatural existence or force above the gi’s attributes and actions which he believed was the basis of all materials and phenomena. In his thesis, all the materials in the universe exist in the changes caused by continuous births, and there is nothing else which exists transcending this logic of yin-yang. His discussion on ghost leads us to rethink the meaning of filial piety of offsprings in ancestral rites in modern age when traditional filial piety is withering away. It also can contribute to eradicate vague fear of ghost and superstitious understanding of it.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체물(體物)개념에 관한 이해
3. 조상신과 제사(祭祀)의 이해와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영탁(Ann, Young-Tak). (2011).『중용장구』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2 (1), 273-291

MLA

안영탁(Ann, Young-Tak). "『중용장구』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2.1(2011): 273-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