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평교육 평가에 대한 소론

이용수 123

영문명
An Essay about Evaluation of the Critical Education - focusing on evaluation methods -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우문영(Woo, Moon-Yo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2권 제1호, 159~1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비평이란 개념 속에는 이미 평가를 가지고 있다. 비평을 근간으로 하는 비평교육 역시 평가를 함의하고 있지만, 비평 활동 과정에서의 평가와 비평교육 평가 사이에는 상이점이 존재한다. 비평은 비평 대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지만, 비평교육의 평가는 비평교육을 수행하는 주체인 교사와 비평적 학습자, 비평교육 내용은 물론 동료 비평적 학습자와 비평교육에 대한 메타적 평가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문학교육이나 예술교육, 비평교육에서 겪는 평가의 어려움은 무엇보다 평가 방법의 곤란함에 기인한다. 대상에 대한 평가는 비평가의 주관이나 혹은 객관적이라고 인정된 시선만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교수-학습 시간에 활동한 결과물만을 평가하는 결과중심 평가법이 중심을 이루었었다. 이 방법은 교사 입장에서 평가를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과 평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 행위 일체가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교육 평가 철학을 근본적으로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과 학습자의 결과물 생성 과정을 지켜보지 않고서는 신뢰할 수 없다는 한계를 노정하게 되었다. 결과물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내면적 태도까지를 관찰하는 과정중심 평가법이 제시되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오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독에는 작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오류적 오독과 작가의 의도를 의도적으로 벗어난 창조적 오독으로 대별된다. 비평교육 과정에서의 오독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기에 오류적 오독을 넘어 창조적 오독으로 전이시키는 일이 비평교육 평가의 주된 작업이 된 것이다. 그러나 과정중심 평가법 역시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데 한계를 노정하였고, 과정과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과정중심 평가법의 하나인 오독중심평가법과 결과중심 평가법을 결합한 탈중심 평가법을 본고에서는 제안하였다. 탈중심 평가법이란 교사 중심 혹은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 결과 중심에서 벗어나 이들 모두를 수용한 통합적 방법을 말하는데, 아직까지는 추상적 개념만 있을 뿐 구체적 방법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 meaning of critical involves evaluation and so does critical education.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evaluation of critical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 critical education. Criticism evaluate only a critical object, but on the critical education, teacher, learner, learning-mates and contents are evaluated. Evalua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art education has difficulty for difficulties of evaluation method. Critical objects aren’t evaluated only by a critics view - subjective or objective. Before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 was introduced,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which evaluated only results from learning activities was used mainly. It has merits that teacher evaluate easy and objective. But it was contrary to evaluation philosophy that all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 without educational process was not to be trusted.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 was suggested to observe inner attitude of lerner who performed educational process to meet good results. Reading miscue is another method of process-based evaluation. Because reading miscue comes naturally in the critical education, as Paul de Man assert, it is main work to overcome misunderstanding and change into creative misunderstanding. But process-based evaluation has limit to evaluate affective domain and has problem what to do if process and result do not coincide. On this essay propose decentration evaluation method what combined reading miscue-based evaluation method with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Decentration evaluation method integrate with teacher-based, lerner-based, process-based and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For now, it is just a concept. It need to discuss about study of methods concretely.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비평교육의 평가
Ⅲ.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문영(Woo, Moon-Young). (2011).비평교육 평가에 대한 소론. 인문사회과학연구, 12 (1), 159-178

MLA

우문영(Woo, Moon-Young). "비평교육 평가에 대한 소론." 인문사회과학연구, 12.1(2011): 159-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