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부동산부문의 생산 및 수요구조 변화추이와 시사점

이용수 133

영문명
Implications on the Structural Changes of Total Input and Total Demand in the Korean Real Estate Sector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박재운(Jae-Un Park) 정경숙(Kyeong-Sook Jung) 박상학(Sang-Hak Park)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8卷 第4號, 81~1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투입산출표상의 수급균형식을 이용해 총수요 및 총투입 구성요인별 구조변화뿐만 아니라 세 분류(350부문)를 기준으로 한 부동산부문의 수급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부동산부문 중 주거서비스부문과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은 최종수요적 내수산업이나 부동산임대및공급부문은 중간수요적 내수산업에 가까웠다. 둘째, 부동산부문은 후방연관효과가 낮은 산업이지만 부문별로는 특히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에서 그 특징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셋째, 부동산부문의 부문간 중간수요 및 투입구조를 보면 부동산자체보다는 타 산업으로부터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다. 제조업및 건설업으로부터의 영향력은 낮아지는데 반해 금융 및 보험부문으로부터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다. 특히 부문별로는 부동산임대및공급부문이 이러한 특징을 대표한다. 마지막으로 부동산부문은 타 산업대비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창출부문이었다. 특히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에서 높은 부가가치가 창출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경제 내 부동산부문의 부가가치비중이 하락추세로 돌아서는 등 전반적으로 침체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부동산부문은 세부부문별로 극명한 대조를 보이므로 부동산부문을 분석함에 있어 부문별 분석이 아닌 부동산부문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하면 애곡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부동산부문의 구조분석 및 예측, 정책입안 시 세부부문별로 따로 분리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tra-industrial relationship and growth trend in the Korean Real Estate Sectors by the structural change analysis of the Input-Output tabl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 estate rental sector indicates to be close to the domestic sector of intermediate demand. Second, the Real Estate sector has been a weak backward linkage effects, and however the Real estate agents and managers sector has the this property. Third, judging from the intra-sectoral relationship, the Real estate agents and managers sector has been more influenced from the finance and insurance other than own sector itself. Forth, the Real Estate sector compared to the other sectors has comparatively been high value-added sector, and but got to be slowdown. Therefore, promoting the merged and compound strategy is needed, and an influx of human capital into Real Estate Industry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overcome the slowdown in this sectors.

목차

Ⅰ. 서론
Ⅱ. 분석모형 및 부동산부문 분류
Ⅲ. 부동산부문의 수급구조 변화추이 총괄분석
Ⅳ. 부동산부문의 배분구조 변화추이 분석
Ⅴ. 부동산부문의 생산구조 변화추이 분석
Ⅵ. 결론 및 정책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운(Jae-Un Park),정경숙(Kyeong-Sook Jung),박상학(Sang-Hak Park). (2010).한국 부동산부문의 생산 및 수요구조 변화추이와 시사점. 주택연구, 18 (4), 81-107

MLA

박재운(Jae-Un Park),정경숙(Kyeong-Sook Jung),박상학(Sang-Hak Park). "한국 부동산부문의 생산 및 수요구조 변화추이와 시사점." 주택연구, 18.4(2010): 81-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