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one Burst 자극음을 이용한 골전도 청성뇌간유발반응(ABR)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이용수 151

영문명
Clinical Application of Bone Conducti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to Tone Burs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지현(Jihyun Kim) 김진숙(Jinsoo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3호, 160~178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골전도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는 유소아의 와우 발달 상태와 청력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전음성 난청자와 외이도 폐쇄증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청력을 지닌 20대의 성인을 대상으로 골전도 ABR과 주파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Tone Burst(TB)를 이용하여 임상에서 골전도의 유용성을 알아보려 하였다. 공기전도와 골전도에 사용된 자극음은 Click, TB500, TB20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역치는 공기전도가 골전도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TB2000에서만 골전도 역치가 더 낮았다. 잠복기는 Click과 TB2000에서만 공기전도가 더 길었으며 골전도에서는 TB500에서만 잠복기가 더 길게 나타났고, 또한 모든 검사 반응의 진폭에서는 골전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골전도에서도 자극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잠복기는 증가하는 형태를 보여 Intensity-Latency Function을 보였고 진폭은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골전도의 잠복기는 TB500, TB2000, Click의 순이었으며, 잠복기는 모두 서로 유의미하게 다른 것(p<.001)으로 나타났으나 진폭은 40, 50dB의 ipsilateral에서만 유의미하였다. 골전도와 공기전도의 차이는 50dB의 Click과 TB2000이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자극 강도의 변화에 따른 기울기를 추정하면 Y=a+bX라는 공식을 얻을 수 있는데 잠복기의 기울기 b와 절편 a 모두 유의미하였고 각 자극음에 따라 달라 Frequency Specificity도 증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uditory Brainstem Responses(ABRs) were recorded with Click, Tone Burst(TB) 500 Hz, 2000 Hz air conduction(AC) and bone conduction(BC) stimuli from normal hearing adults. With a Click at 20 dBHL, TB2000 responses were 100% detectable, but TB500 was 95% detectable. At 10 dBHL, Click and TB500 were detectable in 70% and 50% of the subjects and TB2000 was detectable in 90%. Latencies in Tone Bursts were significantly longer for BC compaired to AC. Wave V amplitude in BC was always larger than AC. Latency and Amplitude of the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stimuli.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responses were similar in latency, amplitude and morphology. Responses to Click, TB500 and TB2000 were differen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Latencies to Click, TB500 and TB2000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However, amplitud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the responses from ipsilateral 30 and 40 dB. When comparing air and bone conduction, only 50 dB Click and TB2000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alculated slop b from TB500 was steeper than that of the other stimuli, whereas the slope of TB 2000 and Click were more flat. Moreover, TB500 showed the biggest intercept a. Derived-band analysis indicated a reasonably good frequency specificity for both the Tone Burst response and the bone-conducted Click response, despite it’s low frequency spectr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BC Tone Burst ABR for demonstrating normal frequency-specific cochlear sensi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현(Jihyun Kim),김진숙(Jinsook Kim). (2002).Tone Burst 자극음을 이용한 골전도 청성뇌간유발반응(ABR)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 (3), 160-178

MLA

김지현(Jihyun Kim),김진숙(Jinsook Kim). "Tone Burst 자극음을 이용한 골전도 청성뇌간유발반응(ABR)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3(2002): 160-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