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개 크기에 따른 이개강 공명

이용수 266

영문명
Resonance in the Concha Cavity is Associated with the Size of the Pinn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허승덕(SeungDeok Heo) 이제현(JeHyun Lee) 전성민(SeongMin Jeon) 김인아(InAh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1호, 107~11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개는 두개골에서 돌출되어 있고, 이개강은 이개가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한공간을 말한다. 이개와 이개강은 소리를 모으는 기능을 하며, 해부학적으로 외이도와 연결되어 있다. 이 기관들은 해부학적 생리학적으로 연속되어 있어서 청각학적으로는 따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청각학적 재활에 있어서 보청기는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보청기사용은 이개강과 외이도 공명의 일부를 상쇄하기도 하고, 보청기 종류에 따라 증폭기가 갖는이득보다 더 많은 이득을 제공하기도 한다. 보청기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추가 이득은 송화기위치 효과(microphone location effect; MLE)와 잔류 외이도 용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개와 이개강 공명은 MLE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개강 공명은 청각생리학적 측면에서 소리에대한 방향성 인지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음원 방향 인지 연구에 중요하다.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이개강 공명 정상치를 구하고, 이개 크기가 이개강 공명에 영향을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정상 성인 18명 36귀(남:여=5:13)를 대상으로 하였다. 입사각 0°와 45°에서 이들의 이개강 공명을 구한 후, 이개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개 크기는 상하 길이가 52.8부터 73.8 (61.7±5.5) ㎜이었으며, 너비가 16.35부터29.9 (22.4±3.3) ㎜이었다. 두 길이를 곱해 구한 면적은 458.62부터 1034.54 (706.21±165.58)㎟를 보였다. 최대 공명주파수는 음원 입사각 0˚와 45˚에서 모두 4 ㎑로 나타났으며, 최대공명이득은 0˚에서 12.2 (±2.9), 45˚에서 13.6 (±3.5) ㏈로 나타났으나 모든 주파수의 이개강공명이득은 이개 상하길이와 너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논의 및 결론: 결론적으로 이개크기는 이개강공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inn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ead and forms the visible part of the hearing system. The cavum concha, an air-filled cone-shaped cavity deep within the ear canal, is also part of the pinna. Both of these structures collect sound and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The pinna, cavum concha and EAC are not separated in the audiology field because these organs are connected anatomically and physiologically. Hearing aids play an importantroll in audiological rehabilitation. However, the use of hearing aids may cancel out the resonances of the cavum concha and EAC or may result in a gain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oacoustic gain. These variables differ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hearing aids. The value of the gain depends on to the microphone location effect (MLE) and the volume of the residual ear canal. The pinna and cavum concha influence the MLE. Hence, cavum concha resonanc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uditory physiology because resonance provides an important clue for direction determination.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normative data in Korean adults and todetermine whether the size of the pinna influences the concha resonance. Methods: Eighteen healthy-young-adults (36 ears, M:F=5:13)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was evaluated at azimuth 0° and azimuth 45°,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pinna and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mean height of the pinna was 52.8 to 73.8 (61.7±5.5) mm, the mean width of the pinna was 16.35 to 29.9 (12.2±2.9) ㎜, and the mean area of the pinna was 458.62 to 1034.54 (706.21±165.58) ㎟. The maximum resonance frequency was 4 ㎑ in both directions. The maximum resonance gains were 12.2 (±2.9) ㏈ at azimuth 0° and 13.6 (±3.5) ㏈ at azimuth 45°. The mean lengthof the concha cavity was 61.7 (±5.5), and its mean width was 22.4 (±3.3) ㎜. The sizes of the pinna and concha cav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01). However,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size of pinna and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inna size does not affect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승덕(SeungDeok Heo),이제현(JeHyun Lee),전성민(SeongMin Jeon),김인아(InAh Kim). (2010).이개 크기에 따른 이개강 공명.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1), 107-113

MLA

허승덕(SeungDeok Heo),이제현(JeHyun Lee),전성민(SeongMin Jeon),김인아(InAh Kim). "이개 크기에 따른 이개강 공명."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1(2010): 10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