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 남성의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이용수 1214

영문명
Comparing the Acoustic Character of Diphthong Production between Flaccid Dysarthria and Spastic Dysarthr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변해원(Hae Won Byeo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1호, 66~7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빠른 연결로 생성되는데, 청지각적 평가만으로는 오류의 위치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상남성과경직형, 이완형 마비말장애 남성을 대상으로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시간점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통해서 혀와 턱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산출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방법: 경직형마비말장애 화자 4명과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 2명,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스크린에 제시된 /햐다/, /휘다/, /희다/를 읽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이중모음은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전체 구간이 4구간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시간점의 평균 포먼트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야/의 산출과정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집단은 정상집단과 경직형 마비말장애집단보다 전이구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위/에서는 모든 구간에서 경직형 집단과 이완 형 집단의 혀가 후방화되어 조음이 되었다. /의/에서는 정상집단과 경직형 마비말장애집단은턱과 혀의 움직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완형 마비말장애집단은 산출과정에서 턱과혀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결과는 마비말장애 화자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Diphthong is accomplished with a fast connection glide and vowel.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type of error and position using only the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phthongs /ja/, /wi/, and /ɰ/ in a word reading assignment between patients with dysarthria (flaccid, two; spastic, four; average age, 58 years) and normal patients (N=10, average age, 57 years). Methods: Using the computer program “Kalvin (2004),” test words consisting of /h +‘diphthong’ + da/ were shown on a computer monitor. Recorded diphthong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and the average formants of each moment were analyzed using ‘Praat’ (version 4.6.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ja/, changes in the position of a tongue were observed in the spastic dysarthria group, and backing appeared when a diphthong was pronounced. A longer transition time of diphthongs was observed in the flaccid dysarthria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group.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wi/, more backing was observed in the dysrthria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 position of the tongue was tun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ɰi/, while the levels of the openness of the jaw in the normal group were pronounced in the form of /i/, a single vowel, it can be estimated that /ɰi/, a diphthong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openness of the tongue was tuned in the flaccid dysarthria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for vowel of dysarthric spee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해원(Hae Won Byeon). (2010).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 남성의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1), 66-78

MLA

변해원(Hae Won Byeon).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 남성의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1(2010): 66-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