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 탐색

이용수 185

영문명
Investigating Representation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Indicator of Competenc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 focused on Elementary English Subject -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한희정(Hee-jeong Ha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7집, 99~12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PCK는 교과별 내용의 교수적 변환에 기초하는 교사의 수업 지식으로 서, 수업 전문성 신장이라는 맥락에서 최근 교사교육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PCK와 교육과정 지식 간의 위상재고를 통해 PCK를 재개념화하고, 이것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력을나타내는 지표로 이해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또한 실제로 초등학교에서 교과의 특성상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에 기초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타 교과에 비해 더욱 높은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그러한 PCK를 포착할 수 있는 교수적 표상들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이 해당 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어떻게 연관되어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PCK가 어떠한 교수적 표상으로 나타나며, 또한 그것이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력의 어떤 측면들을 반영하는지 탐색하였다.그 결과, 참여 교사 3인이 수업에서 나타낸 PCK 표상은 학생들의 흥미와 필요에 기반하여 언어 기능의 통합과 의사소통 기능 및 어휘의 확장 및 변형 등을 중심으로 발현됨으로써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재구성을밀접하게 연루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CK에 함의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교사 전문성으로서의 그것이 갖는 의의를 조명할 수 있었다.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교과별 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교사교육 분야에서 이와 관련한다양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 teachers' knowledge based on instructional transformation, and it is getting interest from many teacher educators This research considers how the no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has dt isoped and changed a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role has been changing. It is structured around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offers the reflection on entailment of PCK conception in this special issue, and reconceptualization of PCK was tr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from the viewpoint of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curriculum. It examined that PCK implicate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challenged that representations of PCK indicate teachers' compet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second section explore how thre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show their PCK representations in real teaching through CoRe(Content Representation) incorporated in interview protocols. The codes are analyzed to examine how their representations of PCK are connected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Grounded theory. Each teacher ultimately had a personalized representation that directed her instructional decisions and actions based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hed light on teachers' representations of PCK can be used as a indicator of their compet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재구성력으로서 PCK 재개념화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희정(Hee-jeong Han). (2010).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 탐색. 교육연구, 47 , 99-128

MLA

한희정(Hee-jeong Han). "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 탐색." 교육연구, 47.(2010): 99-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