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新羅<丹陽赤城碑> 書體硏究
이용수 182
- 영문명
-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Geokseongbi of the Silla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정용남(Jung, Yong Nam)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2호, 39~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라 <적성비>는 6세기 중반 단양의 적성산성 내에 건립된 비이다. 이 비의 건립 당시 신라는 정치 ․ 경제 ․ 문화 등 모든 면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삼국통일의 토대를 마련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신라는 국내적으로는 활발한 정복 사업을 펼쳐 그 영토를 한강 유역 까지 확장하고, 대외적으로는 중국 남북조와 직접 교섭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결과로 남북조의 다양한 문화를 직접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예도 점차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건립된 <적성비>가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신라 토속 서예와 중국 서예와의 관계를 살펴 그 연원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적성비>의 장법과 필획, 결구를 분석해 보고, 중국 서예와 구별 되는 신라 석비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신라 서예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적성비>의 장법은 <적성비> 이전의 <냉수리비> ․ <봉평비>에 비해 정돈되고 구획화 되었지만, 석비의 모양 따라 장법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서체는 예서에서 해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서풍이고, 필획은 부드러운 곡선에 원필이며 전절부분이 둥글다. 결구는 편방형이며 향세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편방형인 비의 모양에서 기인된 것이다. <적성비>내의 동일자들은 필획과 결구가 같은 것이 없는데 이는 신라 서예 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적성비>의 연원을 밝혀 보기 위해 <적성비>와 동시대인 중국 북위의 <신귀삼년명조상비>와 비교해 보고, 또 신라의 6세기 석비들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적성비> 서예는 <신귀삼년명조상비> 서예를 받아들이되 석비를 자연석으로 선택하여 석비에 어울릴 수 있는 <적성비> 서체로 창조 ․ 발전 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6세기 신라 석비들은 내용이나 형태, 서체에서 다양한 변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적성비>를 기점으로 점차 정제된 중국 서예와 유사한 점이 있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토속적인 신라서풍을 동시에 함유 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Geokseongbi (ca. 551) of the Silla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Geokseong Castle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During this time, the Silla Dynasty was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unification, developing herself in many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domestically the Silla Dynasty extended her territory up to the Hangang River and internationally had direct contacts wi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s a result, she came in contact with the culture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her calligraphy also began to be affected by China.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of the Geokseongbi,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local calligraphy and Chinese Calligraphy through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first I analyzed its composition, writing technique, and structure and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calligraphy, represented in the Silla stone inscription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Geokseongbi became more organize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Nangsuribi and Bongpyeongbi, but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one shape. The calligraphic style is a transient one from the lishu to the kaishu, and the writing technique is a round brush with round turning. The structure is mainly flat and facing each other due to the flat stone shape. The same characters of the stele also show variety by demonstrating different composition, strucure and shapes. Second, to find out the origin of the Geokseongbi, a comparison with the Shenguisannianming zaoxiangbei (520) of the Northern Wei and the Siila stone inscriptions was carefully carried out. The result denotes that the stele developed and created a new writing in accordance with its natural, round stone shape although in part accepted the calligraphy of the Northern Wei stele. The Silla stone inscriptions in the 6th century revealed varieties in content, shape, and writing style and became similar to Chinese calligraphy in good order, starting from the Geokseongbi. They, nonetheless, k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alligraphy in common.
목차
Ⅰ. 머리말
Ⅱ. <赤城碑>의 槪觀
Ⅲ. <赤城碑>의 서체 분석
Ⅳ. <赤城碑> 서체의 淵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숏폼 영상의 경험적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여가경험이 일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기기 이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