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과 정치적 함의

이용수 288

영문명
Buddhist Relic Worship of Ancient Kings and its meaning as a Political propagand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주경미(Joo, Kyeongmi)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0권 제2호, 17~5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0.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석가모니 부처의 진짜 유골이라 믿어지는 진신사리는 부처와 동일한 신격을 지 닌 존재로서, 불교계에서 널리 존숭되었다. 진신사리 신앙은 석가모니의 열반 직후 에 세워진 근본팔탑의 건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일찍부터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달하였다. 특히 기원전 3세기 인도의 아쇼카왕에 의해서 세워진 팔만사천탑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이 가지는 정치적 함의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다. 이후 아쇼카왕의 선례를 따라 중앙아시아와 스리랑카, 동아시아 등 의 여러 불교 국가에서는 국왕에 의한 진신사리 공양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의례 와 당시 만들어진 조형물들은 후원자인 국왕의 정치적 위상을 높여주는 선전물로 서 기능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아쇼카왕의 전설이 5세기경부터 남조에 전해지면서, 양무제나 진무 제와 같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양무제의 진신사 리 공양은 무력을 통해 집권한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동시대의 백제와 신라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편 남북조를 통일한 수문제는 아쇼 카왕의 팔만사천탑 고사를 본받아 인수연간에 100여개의 진신사리를 전국 각지에 보내어 각각 탑을 세웠다. 수문제의 이러한 사리신앙은 순수하게 종교적인 것이 아 니라, 통일된 제국을 통치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고대 국왕들에게 진신사리의 호지와 공양은 자신의 聖德을 상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고 민심을 모으기 위하여 진 신사리 공양을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위덕왕과 신라의 선 덕여왕이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의 진신사리 공양과 전륜성왕 사상을 받아들였다. 이와 같은 진신사리 공양 과정에서는 국왕의 후원으로 그를 위한 선전용, 혹은 위 엄 과시용으로 탑이나 사리기와 같은 새롭고 독특한 조형물들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존하는 백제의 사리장엄구나 신라 황룡사목탑지 출토품 등은 그러한 영 향 관계를 보여주는 고고학적, 미술사학적 유물로서 매우 중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s relic cult of the kings and its political meaning. The worship of Buddha's relics was developed in Ancient India, when Sakyamuni Buddha entered Nirvana. According to legend, the famous eight Kings of that time divided the Buddha's relics with each other and constructed the eight great stupas within their own land. When King Aśoka, the unifier of the Indian continent in the third century BC, came to hold Buddhist faith, he excavated the Buddha's relics from those eight stupas and built new eighty four thousands of stupas in the world in order to newly enshrine the Buddha's relics. These Aśokan stupas were the most important exampl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relic worship by an emperor exemplifying the imperial political propaganda. In ancient China, some emperors accepted the Buddha's relic worship like King Aśoka and worshipped the Buddha's bodily relic in order to make political impacts out of the worship. Emperor Wudi of Liang (梁武帝) and Wudi of Chin (陳武帝) in the southern China, who became kings by military forces worshiped Buddha's relics for legitimizing their own enthronements. Emperor Wendi of Sui dynasty (隋文帝) who unified China in the late six century also worshiped the Buddha's relics and built one hundreds stupas all over his territory for enshrining them emulating King Aśoka. These religious acts by Emperor Wendi were performed as a kind of Buddhist consolation for people who suffered from the long wars of unification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ed as a political propaganda for the legitimation of his reign.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in ancient Korea, some kings also accepted this kind of Buddha's relic worship after King Aśoka and Emperor Wendi. King Wideok of Baekjae built two large wooden pagodas for worshipping the Buddha's relic and some of Buddhist reliquaries were excavated from the pagoda sites. However, Queen Seondeok of Silla built the giant nine storied wooden pagoda in Hwangnyongsa temple, praying to Buddha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 by Silla. After she built the pagoda, Silla defeated Baekjae and Goguryo and completed the unification war. Therefore, those relic worships inspired by precedents of the Buddhist Kings were not purely religious offerings but rather political patronages of Buddhism for gaining their prestiges.

목차

<목 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인도와 스리랑카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
Ⅲ. 중국 南朝 王室의 진신사리 공양
Ⅳ. 隋文帝의 진신사리 공양과 仁壽舍利塔의 건립
IV. 백제 왕실의 진신사리 공양
V. 신라 왕실의 진신사리 공양
V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경미(Joo, Kyeongmi). (2009).고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과 정치적 함의. 인문사회과학연구, 10 (2), 17-50

MLA

주경미(Joo, Kyeongmi). "고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과 정치적 함의." 인문사회과학연구, 10.2(2009): 1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