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철학함의 서설(敍說)

이용수 78

영문명
Prolegomena to philosophiz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서명석(Seo, Myoung-Seok)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2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철학함은 무엇인가? 이것을 해명하는 길 위에 이 글이 있다. 이 길의 궤적은 시를 통한 연구문제와 문제-틀의 열어놓음을 개시(開示)한다. 이 안에서 시의 존재론을 ‘시(詩)-시(時)-시(視)’의 성찰적 은유를 통해서 교육철학함의 존재론적 위치를 설정한다. 그 후, 교육철학함에서 필연적으로 맞닥뜨려야 하는 명사형철학과 동사형철학의 관계와 위상을 점검한다. 이 과정에서 동사형철학과 교육철학함 사이의 접속지점을 부각시킨다. 실제로 수업사태에서 명사형철학과 동사형철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추적한 뒤 각각의 교육적 처해-있음을 호명한다. 이를 하기 전에, 교육철학함의 세계와 교육철학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입론화해서 각각을 상론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우선, 교육철학함의 과정을 세 단계로 구상한다: ‘질문함-사유함-다시 사색함.’ 이런 세 단계의 철학적 운동이 견분과 상분의 상호작용을 이끌면서 필로소파이즈 또는 필로조피렌이라는 구체적 활동을 더욱 증장하게 된다. 이런 교육철학함과 교육철학함의 과정이 동사형철학과는 실제 수업의 사태에서 어떻게 결합하여 응용될 수 있는지 그것의 증례를 들어 밝힌다. 이와 같은 해명의 과정에서 귀납적으로 얻어낸 결론은 이런 것이다. 교육철학의 수업에서 교육철학함을 가르치는 데에는 명사형철학보다는 동사형철학이 더욱 효과적이며, 이런 동사형철학을 가르치고 배우게 될 때 진정한 의미의 교육철학함을 체득하는 기회가 찾아들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교육철학함을 동사형철학과 결합시켜 놓고 실제 교육적 사태에서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어떻게 자유자재하게 전유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영문 초록

‘What is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a question that every professor of educational philosopher must ask himself. B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not at all obvious. Moreover, it is a hard philosophical question.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what is decisiv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what is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I use the understanding and the interpretation on the philosophizing education. It i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is hermeneutics in its theoretical explication toward the practice o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lluminates the insi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a main area. My approach use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o develop a new rationale and to examine its ap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To philosophize is questioning and thinking and re-thinking.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teaching and learning is divided two style, that is, noun-type philosophy and verb-type philosophy of educational practice. I drive my attention to the actual application to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through verb-type philosophy. This focuses on verb-type philosophy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Verb-type philosophy has the nature of a serious conversation between professor of educational philosopher and students tha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to philosophize educatio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to teach what is questioning and thinking and re-thinking on educational themes to students. In this process, students learn competence-to-see[見分] and competence-to-be-seen[相分] toward the understanding of one’s own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this process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orizon of the-competence-to-see and the horizon of the-competence-to-be-seen and it ends up in a fusion of both horizons concerning educational concep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명석(Seo, Myoung-Seok). (2008).교육철학함의 서설(敍說). 교육사상연구, 22 (1), 1-20

MLA

서명석(Seo, Myoung-Seok). "교육철학함의 서설(敍說)." 교육사상연구, 22.1(2008):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