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신라 연결고리유개호의 발생과 전개

이용수 865

영문명
A study on Designed Jar with Tie Function in Unified Sill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홍보식(Hong Bo Si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0호, 23~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1.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元和十年" 銘骨壺와 경주 배동 삼릉 출토 골호로 사용된 연결고리유개호는 통일신라토기의 절대연대와 편년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로서 통일신라토기를 9세기 이전의 인화문기와 이후의 무문양기로 양분하는 이분법적인 이해의 기준자료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에 근거한 통일신라토기의 인식은 통일신라토기에 대한 논의의 진전을 차단하여 왔고, 인화문이 사라졌다는 9세기 전반 이후부터 신라가 고려에 투항하는 935년 직후까지의 약 150년 동안에 걸친 나말여초기의 토기양상에 대한 실상파악을 어렵게 하여왔다. 본고에서는 통일신라토기의 편년과 변화의 기준자료가 되어 온 연결고리유개호의 연구에서 간과한 연결고리유개호의 조형 및 발달양상에 주목하여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할 수 있었다. 연결고리유개호는 김천 갈항사지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청동사리용기와 같은 사리용기를 토제로 모방하여 창출되었으며, 창출 시기는 빨라야 8세기 후반, 대체로 8세기 말에 등장하였고, 9세기 전반의 늦은 시기 이후가 되면 연결고리유개호의 표면에 화려한 인화문이 시문되면서 그 수가 증가하는 등 성행을 하다가, 9세기 말 이후 쇠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결고리유개호의 변화는 석탑에 봉안한 납석제 사리용기의 형식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납석제 사리용기에는 제작연대를 알려주는 명문이 있어 객관적인 절대연대의 추출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 가장 늦은 형식으로 간주되어 온 연결고리유개호가 실은 가장 빠른 형식이며, 가장 빠른 형식으로 여겨왔던 것이 가장 후행형식임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9세기 초를 기준으로 한 인화문기와 무문양기로 양분한 기존의 견해를 극복하고, 나말여초기의 토기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oth burial urn with the inscription "Wonhwa 10th year"(元和十年) and jar with lid having knob used for tying device(연결고리유개호), which was also used for burial urn and excavated at Samreong, Bae-dong, Gyongju have been served as an important reference not only for studying the chronometric dates and chronological recording of earthenwares in Unified Silla, but also for understanding the dichotomy of dividing the stamped design pottery period and the plain coarse pottery period before 9th century. But this understanding has interrupted more progressive discussions, and made in difficult to grasp the aspect of earthenwares during the time of 150 years from the first half of 9th century to A.D. 935 when stamped design disappeared and Silla surrendered Koryo.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moulding an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designed Jar with tie function, which existing studies have overlooked, therefore it made possible a new proposition on the process of its change. Designed Jar with tie function was the earthenware reliquary which imitated bronze reliquary in the three storied stone stupa of Gimcheon Galhang-temple site. It was made in the latter half of 8th century, and increased in number and engraved splendid stamped design on it toward the middle of 9th century, finally declined after the latter half of 9th century. The formal change of the designed Jar with tie fun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at of agalmaltolite reliquary in stone stupa which engraved the year of its production. Thu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its chronometric dates. After all, the fact that designed Jar with tie function was the earliest form was confirmed. Thus I could overcome the existing view which divides the stamped design pottery period and the plain coarse pottery period before 9th century, and propose a new vision on the culture of the earthenware during "Namalyeocho(羅末麗初)-the time of both the end of Unified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o".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개요와 연구사
Ⅲ. 분석과 형식설정
Ⅳ. 연결고리유개호의 상대서열과 전개양상
Ⅴ. 결어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보식(Hong Bo Sik). (2005).통일신라 연결고리유개호의 발생과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50), 23-54

MLA

홍보식(Hong Bo Sik). "통일신라 연결고리유개호의 발생과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50(2005): 2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