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이용수 658

영문명
The comparison of a settlement at the middle Bronze age:In the middle west area of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안재호(Jae-ho Ah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43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2.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湖西地域에서 발굴된 中期의 무문토기 취락유적을 대상으로 각 취락의 구조와 성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地域共同體 속에서 大小單位의 취락은 각각의 기능이 分業化된 하나의 유기적인 관계로 결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즉, 주거지 규모의 차이를 단순한 가족 구성원의 다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구성원의 신분이나 사회적 위치로 파악한다면, 취락내에서 큰 규모의 주거지는 그들의 신분적 기능을 엿볼 수 있는 특정한 위치에 입지한다. 그리고 중대형의 주거와 주변유구와의 관계를 통하여 墓祀 집단의 烏石里遺蹟과 수확된 식료의 貯藏과 관리의 機能이 강한 大興里遺蹟 그리고 耕作集團으로서 阮北里遺蹟을 모델화하였다. 이에 반하여 寬倉里B구역遺蹟은 4개의 소취락으로 형성된 거점취락으로서, 묘사, 토기생산, 농경활동, 저장 등으로 分業化된 소취락의 複合型에 해당한다. 취락기능의 분업화는 靑銅器, 石器, 玉, 土器 등의 專門工人集團의 발생과 儀禮를 관장하는 特定個人 또는 특정집단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남지방의 경우 특정개인은 前期 末경에 나타나지만, 분업취락의 성립은 역시 中期에나 가능할 것이다. 이 特定個人의 취락은 中核취락으로 발전하며, 그 이후 中期後半에는 分業的 취락으로 地域共同體가 형성된다고 추정하고 싶다.

영문 초록

I inquired into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each settlement, which was the middle Bronze age of settlement remains, excavated at the choong-chung province. It seems high feasible that the settlement of the great and small sizes in local public community connected as a kind of organic relation. So to speak, the difference of residing size isn't fixed by number of the family, but it is fixed by the social position or stand, if so, the great size residing in a settlement is located in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 we can look for their social position. An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middle large residing and circumference remain structure, Osuckee remains is model as group which is manage to ceremony, supervise graves, and manufacture of burial accessories, Daehungnee remains which was competent of storage and management of harvested provisions, and Wonbuknee remains which was cultivation group were modeled. Whereas, as a point settlement, being consist of four small residing, Ghwanchangnee B restrict was small settlement complex of dividing works such as manage to ceremony, protecting graves, and manufacture of burial accessories, product pottery, storage, cultivation. Specialization of function of settlem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specific individual who is take charge of ceremony or specific group and professional craftsman group who manage of bronze ware, stone aware, jade, and earthen ware. In case of southeastern district, specific individual appeared at the end of former term but Specialized settlement's completion will be possible at middle term as I was expected. I'd like to presume about this settlement of specific individual will develop into point settlement, and later, the latter of middle term it will be formed local community as divide settlement.

목차

요약
Ⅰ.머리말
Ⅱ.중서부지역 中期聚落의 구조
Ⅲ.聚落의 유형
Ⅳ.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호(Jae-ho Ahn). (2004).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한국상고사학보, (43), 1-24

MLA

안재호(Jae-ho Ahn). "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한국상고사학보, .43(2004):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