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南部內陸地域新石器時代 마을의 構造와 生計方式 硏究

이용수 313

영문명
A Study of Structure of the Settlement and Subsistence of Neolithic Age in Southern Inland A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具滋振(Koo, JaJi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3호, 5~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부내륙지역의 대표적인 신석기시대 집자리로는 옥천 대천리 유적을 표지로 하는 대천리식 집자리와 김천 송죽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 송죽리식 집자리가 있다. 두 유형의 집자리는 구조(평면 장방형, 구덩형 화덕자리 등)에 있어 일부 유사한 면을 보이나, 대천리식 집자리는 4주식 기둥배치, 단벽에 돌출된 출입구시설, 내부공간분할, 구릉의 정상부에 1기 혹은 2기만이 존재하는 특징을 지니며, 송죽리식 집자리는 외부 저장구덩, 야외화덕자리, 강가의 충적대지에 위치, 대규모 마을을 이루며 주거와 생산(제작)공간을 분리 배치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어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남부내륙지역의 지형적 조건을 감안해보면 소백(노령)산맥이라는 큰 산줄기가 두 지역의 문화 단절 혹은 교류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 유형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한반도의 환경(기후) 및 생태적 변화에 따른 남부내륙지역으로 이주 및 확산에 의해 각기 다른 생계·주거방식을 채택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송죽리식 집자리는 남해안지역의 영향을 받아, 대천리식 집자리는 중서부지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집자리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결국 대천리식 집자리는 구조(내부공간분할, 돌출된 출입구시설 등), 입지 및 하천분석, 마을 구조(독립 가옥형태), 석기조합양상을 비롯한 출토 곡물 등을 통해 보면 장기 정주마을을 유지하되, 수렵·어로활동보다는 초보적인 농경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식량자원의 획득에 중점을 둔 생계방식을 영위했던 것으로 보이며, 송죽리식 집자리는 석기조합양상과 마을의 입지(충적대지)·구조(공간분할배치)·규모(대규모) 등을 통해 장기정주마을의 성격을 띠며, 초보적인 농경을 비롯하여 주변 환경을 이용한 수렵·어로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representative Neolithic dwelling sites in southern inland area are Daechoen– ri type dwelling site with the post of relics in Daechon– ri, Okcheon and Songjuk– ri relics in Kimcheon. Although these two types of dwelling site shows similarities partly in its structure, Daecheon– ri type dwelling site has the characteristics of 4 column type column allocation, entrance facility protruded on the single wall, division of interior spaces and existence of only period 1 or 2 on the top of the hill. Songjuk– ri type dwelling sit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torage pit, external fire sites, located on the alluvial plain on the river side, composition of large villages and structure of classifying and allocating the space for dwelling and production which shows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tyles. This is judged that considering its geographical conditions, the large mountain range of Sobaek (Noryang) Mountain Range has worked as cultural disconnection or obstacles for exchanges between two regions. Moreover, these two types is regarded that it took different subsistence and dwelling style due to the move and expansion towards southern inland region. That is, it can be considered that Songjuk– ri type dwelling site is influenced by southern coastal area and Daecheon– ri type dwelling site is influenced by mid west area. Considering from the structure, allocation, river analysis, village structure, stone ware combination style as well as excavated cereals, Daecheon– ri type dwelling site seems that it is maintainedas a long term settlement village but managed the subsistence and dwelling style that focused on acquisition of various food resources. And Songjuk– ri type dwelling site has the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settlement village through the allocation, structure and size of the village as well as stoneware combination style and judged that the hunting and fishing activities using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basic agriculture took plac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유형별 집자리 검토
Ⅲ. 마을의 구조와 생계방식
Ⅳ. 맺음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具滋振(Koo, JaJin). (2009).南部內陸地域新石器時代 마을의 構造와 生計方式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63), 5-25

MLA

具滋振(Koo, JaJin). "南部內陸地域新石器時代 마을의 構造와 生計方式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63(2009): 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