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비공식노동시장의 여성인적자원 실태분석

이용수 530

영문명
Female Human Resource in the Korean Informal Labor Market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권태희(Taehee Kwon) 조동훈(Donghun Cho) 조준모(Joonmo Cho)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76호, 71~10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비공식 부문을 나누는 기준은 본 연구에서 종업원 5인 미만 사업장 기준으로 구분하고, 5인 미만 적용배제를 전제로 하는 노동법제도상 사각지대로써 비공식 부문을 정의하였다. 한국노동패널자료(2005)를 이용하여 공식/비공식부문종사자 분포를 추정한 결과 여성 17.8%, 남성 10.8%로서 여성이 비공식 노동시장에 더욱 집중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식/비공식부문간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저학력‧저숙련 근로자가 비공식부문에 더 많이 집중 분포되어 있다는 점, 둘째, 비공식부문의 임금수준은 공식부문의 60%, 비공식부문의 근로시간은 공식부문보다 주당 평균 3시간 길며, 셋째, 비공식부문으로의 진입은 학력이 낮을수록, 여성일수록, 여성근로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현저하였다. 넷째, 근로자의 특성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공식/비공식부문 임금격차는 약20%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공식부문의 공식화에 따른 부가가치 상승을 의미하는 1인당 사회적 편익율은 최대 33.2%로 추정됨으로써 비공식 노동시장으로부터 초래되는 인적자원배분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비공식부문 여성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정책기조는 무엇보다도 비공식부문 여성근로자의 공식화를 강화할 수 있는 보완적인 여성맞춤형 인적자원개발정책이 필요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HRD 마스터플랜 하에 일관되고 지속적인 노동시장 구조개혁정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정책대상자들의 법적‧사회적 배제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보장 관련법의 통합적 운영관리시스템의 인프라 구축도 시급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informal sector is if the business operation has less than 5 workers. The informal sector is defined as the business operation with less than 5 workers that are exempted from the application of labor law and thus, a blind spot.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f formal/informal sector workers using the Labor Panel Data demonstrated that women were more concentrated in the informal labor market with 17.8% compared to 10.8% of men. The major empirical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sectors are as follows: first, workers with less education and less experience are more concentrated in the informal sector; second, the wage level of the informal sector is 60% of that of the formal sector, and the average working hour per week is 3 hours longer in the informal sector than in the formal sector; third, lower the education level, if women, and older the age, it is more likely for the worker to work in the informal sector; fourth,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are identical, informal sector workers were paid approximately 20% less than formal sector workers; and lastly, the per capita social profitability, which means the increase of added-value from formalizing the informal sector, is estimated to be 33.2% at maximum, showing that the social cost rising from inefficient resource distribution ignited from the informal labor market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the policy direction to develop the female human resource in the informal sector should be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development of female human resource to enhance the formalization of women workers in the informal sector, and have consistent and continuous labor market structure renovation policies under the HRD master plan in place in order to realize such formalization. Also, in order to prevent legal and social exclusion of the policy beneficiari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nstruct the infrastructure of integrated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relevant laws on social security.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노동시장 비공식부문의 실태
Ⅲ. 비공식부문의 임금결정요인 실증분석
Ⅳ. 비공식부문 공식화의 사회적 편익
Ⅴ. 비공식부문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과제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태희(Taehee Kwon),조동훈(Donghun Cho),조준모(Joonmo Cho). (2009).한국 비공식노동시장의 여성인적자원 실태분석. 여성연구, , 71-109

MLA

권태희(Taehee Kwon),조동훈(Donghun Cho),조준모(Joonmo Cho). "한국 비공식노동시장의 여성인적자원 실태분석." 여성연구, .(2009): 7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