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대상관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932

영문명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 Level on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With the Mediation of Self-Silencing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지연(Jeeyon Lee) 김미영(Miyoung Kim)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76호, 201~2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여성의 우울에 대해 대상관계와 자기침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상관계가 자기침묵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인천광역시와 수도권 일대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총 363명이 대상 관계, 자기침묵, 우울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부를 제외한 35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하위변인은 자기침묵과 우울 간의 상관관계 모두에서 불안정 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와 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자아중심성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침묵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상관계가 자기침묵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으며 대상관계의 하위변인 중 불안정애착, 소외, 사회적 무능력 순으로 자기침묵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셋째. 대상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넷째, 자기침묵은 대상관계와 우울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여성의 우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서 자기침묵을 새로이 추가하여 우울을 더욱 더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women’s object relatio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 level on depression with the mediation of self-silencing.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363 women over 20 years old who lives in Incheon and the metropolitan area. Sample population completed OR-Inventory, Silencing-The-Self Scale(STS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12.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ronbach’s α were also calculated.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object relatio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Insecure Attachment(IA), Social Incompetences(SI), Alienation (ALN)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both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However Egocentricity(EGC) shows no significant association. Among those, IA shows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shows positive associations.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Externalized self-perception,’ ‘Silencing the self,’ ‘Divided self’ shows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ut ‘Care as self-sacrifice’ has low-leveled posi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Second, object relati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self-silencing. IA, ALN, SI predicts self-silencing in order, but EGC does not influence. Third, object relation and self-silencing have posi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Specially, IA, SI (among object relation) and ‘Externalized self-perception’, ‘Divided self’ predict depression significantl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on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depression was also examined. This study is the first one in Korea which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and self-silencing, the relation betwee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between object relation and depression.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연(Jeeyon Lee),김미영(Miyoung Kim). (2009).여성의 대상관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연구, , 201-226

MLA

이지연(Jeeyon Lee),김미영(Miyoung Kim). "여성의 대상관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연구, .(2009): 201-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