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海東華嚴의 실천적 전개

이용수 513

영문명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ayen Buddhism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권탄준(Kwon, Tan Jun)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0輯, 9~4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5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유학에서 돌아온 의상의 화엄사상은 중국의 여러 사상 조류를 섭취함과 동시에 신라 내의 사상조류와의 관계 속에서 의상 나름의 독특한 화엄학풍을 형성하여, 이른바 해동화엄이라고 하는 값진 정신문화를 인류역사에 자리매김하게 하였다. 해동의 화엄에서 가장 중요한 문헌은 아무래도 의상이 지은 『법계도』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부석사를 근본도량으로 삼은 의상의 화엄종은 『법계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일승법계도』는 화엄학의 법계연기사상을 7언 30구(210자)의 시로 요약하여 그것을 4角印 속에 새겨 넣고 (51角의 印道), 그 印文의 뜻을 해석해 놓은 문헌이다. 『법계도』는 먼저 법계연기의 실상을 밝히면서 그것이 근거하는 원리를 밝혀서, 일체의 진망(眞妄) 차별을 초월한 깨달음의 세계는 본질적으로 진실하고 자비로운 인간의 삶을 통해 구현됨을 설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진리의 세계와 합일하는 원리를 해인삼매라고 자리행과 이타행의 다양한 수행방편을 설하면서 그것을 통해 나와 남을 구제하게 되는 이익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법계도』는 전체적으로 수행론적인 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법계도』의 구조는 의상이 『법계도』에 강력한 실천적 성격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렇게 도상화 함에 있어서도 해인삼매·일승·삼승·선교·사섭·사무량·중도 등 실천적인 교의를 곁들이고 있다. 이것은 『법계도』가 단순한 이론체계의 모형을 그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실천적 수행을 목적으로 한 것임을 뜻하고 있다. 의상은 평생을 계율에 철저하여 돈독한 수행인으로 일관하였다. 의상은 그러한 수행 자세를 개인 차원에 머물러 두지 않고 능동적으로 시대 상황을 수용하는 실천적인 수행자의 모습을 제시해 보이고자 하였다. 이런 생각에서 그가 추진한 실천행은 관음신앙과 미타신앙이었다. 관음신앙과 미타신앙은 일반인들이 누구나 가까이할 수 있는 서민들의 대중신앙이다. 의상이 대중신앙의 중요성을 중시하여 이들 신앙을 확립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도 적극적인 토대를 마련한 것은 悲願을 가지고 중생을 구제하려는 진정한 화엄행자의 자세라 할 수 있다. 이들 신앙은 통일전쟁으로 지친 신라인들에게 커다란 위안이 되고, 밝은 삶을 열어갈 수 있는 힘이 되었으리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의상 문하에는 悟眞·智通·表訓·眞定 등의 十大德과 梵體·道身 등의 俊才들이 모여들어 스승의 사상을 계승했고, 사찰 또한 태백산 부석사를 비롯 소위 ‘華嚴十刹’이 대를 이어 세워지게 되었다. 의상의 중국 화엄학 전래와 그 홍포에서 보이는 이상과 같은 해동화엄학의 교단적 발전은 그 사상적 특질을 ‘실천운동을 근본으로 삼았다’고 규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원효가 저술에 힘쓰고 법장이 이론 정립에 치중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신라 하대의 선(禪) 전래는 한국불교사상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 온 커다란 사건이었다. 선과 화엄 간의 대응관계에서 해동화엄의 실천적 성격으로 인한 선사상과의 친밀성 때문에 의상계 화엄승려들이 선문(禪門)으로 많이 전향하였고, 이후로도 양자 간에는 대립이 아닌 공존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선 및 한국불교사상의 전개에 있어서 중국보다는 훨씬 더 친밀함이 유지되는 전통을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시대에도 화엄종에는 특히 해동화엄의 전통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고려 초의 화엄교단이 남악파와 북악파로 분열 대립하고 있을 때, 광종 때의 화엄종장인 균여는 의상계의 실천적인 화엄학을 중심으로 하여 화엄교단을 통일함과 동시에 사회구제 및 대중교화에 진력하였다. 그리고 균여가 의상의 직제자들이나 법손의 저술에까지 깊이 연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인 균여를 의상의 제7신(身)이라고까지 하고 있는 데에서도 균여의 해동화엄의 계승이 뚜렷이 드러나고 있다. 의상의 화엄을 전승하고 있는 균여의 화엄사상에서도 특히 실천적인 보현행(普賢行)이 중시되고 있다. 균여는 이러한 보현행을 대중사회에 널리 유포시키기 위하여 40권 『화엄경』 끝부분의 보현보살의 열 가지 대원(大願)을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란 11수의 향가로 나타내어 모든 사람이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난해한 『화엄경』의 사상을 일반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훌륭한 방편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균여의 60여 권에 달하는 화엄관계 저술이 모두 방언인 이두(吏讀)로 주석된 점이나, 광종 대에 귀법사(歸法寺)가 창건되자 균여가 주지로 임명됨과 동시에 불교 사회복지기관이라 할 수 있는 제위보(濟危寶)가 설치됨은 모두 일반 대중을 위한 그의 보현행

영문 초록

The most fundamental text of the Huayen Buddhism in Korea is, above all, the Ilseungbeopgyedo[一乘法界圖, Chart of the Dharma-world of the Single Vehicle of the Huayen] by Uisang[義湘, 625-702]. In the Ilseung- beopgyedo, the thought of dependent co-arising of the dharma-world by the Huayen Studies is engraved on a rectangular seal(the Dao of Seal in 51 angles), in epitomized form of a poem in 30 lines with seven characters(210 characters in sum), with a commentary on the text. This work has the structure of practice theory on the whole, illuminating on how to be awakened by the way of diverse practices of establish- ing oneself and helping others, in the condensation of the doctrine of the Huayen school. The structure of practice in this work is remarkable, in contras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system or extensive explanations of various doctrines seen in Chinese Huayen scholastics, contains doctrines oriented toward actual practice, including haeinsammae[海印三昧, sāgaramudrā-samādhi], ilseung[一乘, ekayana], samseung [三乘, triyana], seongyo[善巧, kausalya], samuryang[四無量, catvāri-apramāṇa], etc. Uisang, as a thorough practitioner who had been austere in keeping Buddhist precepts, focused his practice not on his individual dimension but on activ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in the world dealing positively with the contemporaneous situations. In this context, his active practice was based upon the faith in Avalokiteśvara Boddhisattva and in Amitābha Buddha as a general and popular faith. Under Uisang, ten great monks and other excellent men of talent gathered to inherit his thought, resulting in the subsequent establishment of the ten Hueyen monasteries[華嚴十刹],includingtheBuseoksa[浮石寺] temple in the Mt. Taebaeksan[太白山].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en Buddhism and Seon[禪, Ch’an or Zen] which was transmitted to Silla dynasty in its last period, was a familiar one because of thepracticalcharacteristicsofKoreanHuayenBuddh- ism. Such a relationship of not confrontation but co- existence continues even until today. In Koryeo dynasty, inheriting such a traditional cha- racteristics of Korean Huayen Buddhism, Gyunyeo[均如, 923-973], as the head of the Huayen School in the King Gwangjong[光宗, 925-975] period(949-975), studied even the works of the disciples of Uisang, including the works of his disciples’ disciples, in order to unify the Huayen school of Koryeo, which had been confronting and conflicting seriously with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practical Huayen studies of the Uisang lineage. Gyunyeo, as the inheritor of Uisang’s Huayen thought, wrote 11 poems entitled “Bohyeonshipwonga”[普賢十願歌], in vernacular Korean for its easy recitation by the mass, in oder to spread widely the actual practice of Bhohyeonhaeng[普賢行, Samantabhadracarya] among the populace of the Koryeo dynasty. In addition, his writings on Huayen studies in some 60 volumes was all commentated in idu[吏讀], that is then the vernacular of the Koryeo dynasty. When he was appointed as the abbot of the Gwibeopsa[歸法寺] temple at its foundation, he set up an institution called “Jewibo”[濟危寶] as a Buddhist social welfare system. All of them can be interpreted as resulting from his practical volition for the general populace. Sugi[守其, ?~?], as the head of the Heungwangsa temple school at the King Gojong[高宗, 1192~1259] period(1213~1259), the period of resistance against the Mongol invasion, collected Gyunyeo’s writings from libraries of temples in all parts of Korea, lecturing upon them to his disciples and publishing them as an addendum to the Goryeodaejanggyeong[高麗大藏經]. In this addendum, the Beopgyedogichongsurok[法界圖記叢髓錄],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Silla Huayen scholar monks’ commentaries on Uisang’Ilseungbeopgyedo, was published together. All of them may be the evidence of the strong and practical revival of the Korean Huanyen studies ev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의상 화엄의 실천적 특성
Ⅲ. 균여의 실천적 화엄사상
Ⅳ. 맺음 말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탄준(Kwon, Tan Jun). (2009).海東華嚴의 실천적 전개. 불교연구, 30 , 9-42

MLA

권탄준(Kwon, Tan Jun). "海東華嚴의 실천적 전개." 불교연구, 30.(2009): 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