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적용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형태 변동과 건강수준 차이 연구
이용수 1748
- 영문명
- Precarious Worker"s Employment Stability and Health Status Difference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 저자명
- 박진욱(Park Jinwook) 정민수(Jung Minsoo)
- 간행물 정보
- 『사회연구』2008년 제2/2호, 77~1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0.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임금 노동자의 고용형태 변화가 그들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특히, 비정규직으로의 계속 고용이나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의 하락이 건강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반복측정 자료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3차년도 및 4차년도 건강 부가조사를 사용하였다. 고용상태 등을 추출하여 최종 연구에 적용된 대상은 남성 1,207명, 여성 582명이었다. 이 연구는 이들의 고용형태를 4가지 범주로 나누고 일반화추정모형(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적용하였다.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동등화 가계소득, 학력수준, 직업계층, 혼인여부), 건강행동, 의료접근도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 기간(1998~2000)동안 고용형태의 변동은 건강 수준에 유의하게 악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전지구적인 노동유연화의 결과로 고용 불안정성은 다수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으로 변했다. 그러나 이것이 종사상 지위나 임금, 복리후생에 대한 직접적 차이 뿐만이 아니라 건강수준의 격차까지 야기한다면 이에 대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s at the influence of change in employment status on wage worker"s health outcome. Particularly, we analyzed job instabilities such as the succession of precarious worker"s status using by repeated measured data. The research object was 1st-4th wave data and 4th supplement survey data in KLIPS (Korean Laborand Income Panel Study). The sample was a total of 1,789 (1,207 male, 582 female). We categorized the respondent"s employment status into four categories, and applied 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such as age, equivalized house income, education, occupational status,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 and medical access, results using GEE modeling revealed that change in employment negatively influenced wage worker"s health outcome in all waves reflected by time-lag effects. Owing to labor flexibility in globalization, employment instabilities have become an unavoidable reality for contemporary workers. From our results we expect that these conditions will induce health differences, especially among the vulnerable classes. Therefore, adequate political intervention is called for.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연구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2. 연구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권 16호를 내면서
- 민주적 관료통제의 정치적 요인에 대한 분석 -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과 노무현 정부의 사회경제정책을 중심으로
- 청소년 자살의 심리적 과정 및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지지의 보호효과
- 학령기 후기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불안, 또래관계
-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원고작성 요강 외
-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적용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형태 변동과 건강수준 차이 연구
- 고등학생 보충ㆍ야간자율학습과 학업스트레스, 주관적 만족감, 가출 및 자살충동 간의 관계
- 청소년의 반복적 비행과 비공식적 낙인과의 관계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