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이용수 381

영문명
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Dongseop Lee(이동섭) Sang-Hoon Lim(임상훈)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3호, 77~10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신뢰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본질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진전은 오늘날의 가변적인 조직환경 속에서 신뢰가 가지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개인이나 조직의 유효성에 있어서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은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예컨대, 조직학 및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는 신뢰를 하나의 주요한 조직 통제 메커니즘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신뢰는 대리이론이나 거래비용 경제학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기회주의에 대항하는 기제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문화주의적 접근방식을 채택한 연구에 있어서 신뢰는 경영철학과 리더십의 핵심적 요인으로 인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찍부터 널리 인정되어온 신뢰의 중요성에 비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기능과 발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신뢰의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며 여러 수준에서 개념화를 통해 신뢰를 파악하고 있는 까닭에, 조직이론에서조차 아직 신뢰의 역할에 대한 통일된 견해가 존재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축적된 결과물에 기초하여 널리 알려진 조직 모형들을 통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성격과 역할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사?조직 모형으로 합리적 모형, 유기적 모형, 및 문화적 모형 등 세 상징적 모형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각각의 모형 내에서 신뢰는 세가지 수준별(즉, 대인수준, 구조적 수준, 조직간 수준)로 조명되었다.
  특정한 사회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는 방법론의 유용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근은 제반 조직이론이나 경영이론들이 기본적으로 어떤 암묵적인 이미지나 메타포에 기반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각각의 이론들이 기반하고 있는 각각의 이미지와 메타포는 궁극적으로는 조직을 이해하고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 불가피하게도 어떠한 형태로든 차별적이고 부분적일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이끌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시된 신뢰의 의미를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접근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진단을 시도하였고, 산재된 개별 연구에서 존재하는 공통적 특성들을 분류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념적 범주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내 신뢰의 형성과 기능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서로 얽혀 있는 다수준(multilevel)의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이 신뢰의 연구에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예컨대, 평판이나 사회적 규범의 역할에서 보여지듯, 거시적 수준의 신뢰 과정이 미시적 수준의 신뢰관계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것처럼, 보다 미시적 수준의 관계가 조직간 신뢰와 같이 보다 거시적 수준의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식들로 제시되어 온 신뢰의 개념들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 그 방식들이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들간에 공통적인 의미가 존재한다면 어떠한 것인지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신뢰에 대한 정의의 모든 측면을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 개념화를 추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취지로 작동하지 않는다. 신뢰 개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사용이야말로 신뢰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요구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뢰의 다양한 역할과 의미를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상직적 조직 모형과 세 가지 분석수준을 따라 분석하여 신뢰의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합리적 모형의 관점에서 볼 때, 신뢰는 전형적으로 경제적 교환관계에 기초한 상호작용의 특성으로서의 “합리적 선택”에 기초한 결정이며, 대인, 구조적, 및 조직간 수준별로 계산적 신뢰(calculative trust), 억제기반적 신뢰(deterrence-based trust), 또는 계산적 신뢰와 억제기반적 신뢰의 복합적 존재 등의 형태를 띤다. 한편, 유기적 모형 관점에서의 신뢰는 보다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고려되는 특징을 지니며, 각 수준별로 관계적 신뢰(relational trust), 제도적 신뢰(institutional trust), 또는 관계적 신뢰와 제도적 신뢰의 복합적 존재의 형태를 띤다. 끝으로 문화적 모형의 시각에서 볼 때 신뢰는 공유된 의미와 정체성 형성의 한 결과이며, 세 수준별로 정체성 기반 신뢰(identity-based trust), 절차에 기반한 규범적 신뢰(procedure-based normative trust), 규범적 신뢰(normative trust)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범주화는 다양한 시각과 다양한 수준으로부터 조명한 신뢰에 대해 다면적 형상화를 시도하는 것이기는 하지

영문 초록

  This review article examin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rust in relation to the rational, organic, and cultural models of organization at the interpersonal, structural, and interorganizational levels of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ea of research on trust seems to be fragmented in its target problems and approaches to them, which is partially due to different, confusing conceptualization of the trust construct. In an effort to provide a classification system for diverse aspects of trust, this article identifies various types of trust according to the models of organization and the levels of analysis : calculative trust, deterrence-based trust, relational trust, institutional trust, identify-based trust, procedure-based normative trust, and normative trust. The article then discusses implications of viewing trus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th multilevel analysi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 Multi-Faceted Construct of Trust
Ⅲ. Conclusion
REFERENCES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Dongseop Lee(이동섭),Sang-Hoon Lim(임상훈). (2008).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인사조직연구, 16 (3), 77-108

MLA

Dongseop Lee(이동섭),Sang-Hoon Lim(임상훈). "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인사조직연구, 16.3(2008): 77-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