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열사가 가지는 자율성의 결정요인 - 시너지관점과 자원기반관점의 통합적 접근

이용수 288

영문명
The Determinants of SBU’s Autonomy : An Integrative Approach to Synergy and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s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황재원(Jaewon Hwang)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3호, 43~7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형태인 다각화된 그룹에 대한 연구는 주로 회계ㆍ재무자료에 근거한 정량적 접근방식이나(예, 장세진ㆍ홍재범, 1999) 개별 기업에 대한 정성적 분석방식을 따르고 있다(예, 신유근, 1995). 하지만 전자의 경우 조직구조와 같은 기업 내부의 이슈를 다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실증분석을 통한 일반화가 어렵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각 연구방식이 가지는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통계분석을 통해 기업 내부의 관리적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지만, 자료수집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예, 권구혁, 2004). 본 논문은 우리나라 33개 그룹의 230개 계열사에 대한 실증분석에 기반하여 다각화된 그룹내부의 조직구조의 이슈를 다룸으로써 관련 논의의 확장과 연구결과의 축적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그룹본부의 계열사에 대한 분권화, 즉 계열사의 자율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인 시너지관점과 자원의존관점을 포괄하는 통합적 논의를 모색하고, 논의과정에서 그룹본부와 계열사의 입장을 균형있게 고려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계열사 간 관련성, 계열사의 경쟁전략, 계열사의 상대적 자원보유수준을 계열사의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으로 제시하는 한편,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점들 간의 통합을 모색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계열사 간 관련성은 계열사의 자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계열사의 경쟁전략 및 상대적 자원보유수준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열사 간 관련성과 경쟁전략 간의 상호작용은 계열사의 자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계열사와의 관련성이 높은 계열사의 경우 차별화 전략보다는 원가우위 전략을 추구할수록 자율성이 감소되는 정도가 보다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계열사 간관련성과 상대적 자원보유수준 간의 상호작용 및 계열사의 경쟁전략과 상대적 자원보유수준 간의 상호작용은 계열사의 자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rganizational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prevailing issues in the research areas such as organizational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n Korea focuses on an independent firm or an SBU. There is less or insufficient research investigat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an diversified firm. This study focuses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a diversified firm that shows HQ-SBU relations in the multi-divisional context and is based on empirical analyses of 230 SBUs of 33 Korean diversified firms.
  In discussing HQ-SBU relation, HQ-SBU decentralization or an SBU’s autonomy has been used as the central construct. According to mainstream research, two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autonomy are corporate-level diversification strategy and business-level competitive strategy. Each has a different level of analysis, but is based on the same logic, the necessity of synergy creation. The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the autonomy is determined by neither HQ’s nor SBU’s requirement alone for synergy creation and that it is also a result of the HQ-SBU negotiation. HQ therefore might not decrease the autonomy against an SBU’s volition just because HQ has a need to create synergy between the SBU and other ones if the SBU has bargaining power.
  Jung & Kwon(2006) intend to incorporate two distinct perspectives into one framework by presenting an SBU’s competitive strategy, resource level, and resource flexibility as main determinants of the autonomy in their empirical research on SBUs of Korean diversified firms.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ir attempt to provide an integrative perspective is not completely achieved because only the variables rooted in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are set to influence the autonomy. It might also be another weakness that HQ’s willingness to control over the autonomy for creating synergy among SBUs is not seriously consider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rge synergy and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s on the autonomy so as to propose an integrative logic and to consider equally both HQ’s and SBU’s necessities for creating synergy. The study provides an SBU’s interconnectedness, indicating its relatedness to other SBUs, competitive strategy, and relative resource level as main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autonomy and to integrate various perspectives by testing and interpreting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the variables.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of three main and three interaction effects hypotheses. H1 and H2 are based on synergy perspective. H1 predicts that an SBU’s interconnectedness decreases the autonomy. HQ expects an interconnected SBU to create synergy because the SBU has more opportunity to share resources and to transfer skills with other SBUs and, for this reason, HQ intends to decrease the autonomy for coordinating SBUs. H2 predicts that an SBU’s low-cost strategy decreases and, in contrast, an SBU’s differentiation strategy increases the autonomy. An SBU employing low-cost strategy could get benefits from synergy because synergy reduces its operating cost. But, an SBU adop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organizational inflexibility caused by synergy creating activity would be detrimental to its speedy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A low-cost seeking SBU attempts to attain synergy and allows to restrict the autonomy, but a differentiation SBU prefers to remain flexible and is willing to hold the autonomy. H3 is based on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H3 predicts that an SBU’s relative resource level will increase the autonomy. A resourceful SBU could get more autonomy from HQ because an abundance of resources bring bargaining power to the SBU.
  H4, H5, and H6 reflect the integrative logic. H4 indicates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n SBU’s interconnectedness on the autonomy b

목차

〈초록〉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원(Jaewon Hwang). (2008).계열사가 가지는 자율성의 결정요인 - 시너지관점과 자원기반관점의 통합적 접근. 인사조직연구, 16 (3), 43-76

MLA

황재원(Jaewon Hwang). "계열사가 가지는 자율성의 결정요인 - 시너지관점과 자원기반관점의 통합적 접근." 인사조직연구, 16.3(2008): 4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