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iveness of Improved Street Lighting on Crime
이용수 110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Improved Street Lighting on Crime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곽대경(Kwack Dae Gyung) 조병준(Cho Byung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號, 2~32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사회의 범죄를 예방하는 방안들 중의 하나로 흔히 주장되어지는것이 거리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가로등을 새로 설치하고 유지와 관리를 하기 위해서 상당한 예산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범죄예방에 있어서의 효과성을 확신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경험적 증거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엄격한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학술적인 연구들이 수행되고 그 결과들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어떠한 효과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한 미국과 영국의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국내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범죄예방프로그램들의 방법론적인 질을 평가하기 위해 메릴랜드의 과학적 방법척도를 사용하여 13개의 연구들을 검토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즉, 적어도 실험전과 실험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있어서의 범죄발생의 변화를 측정한 수치들이 발표된 연구들을 검토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일회성의 연구나 실험집단의 결과와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있는 대상인 통제집단이 없는 연구는 방법론상의 미흡함을 이유로 검토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복수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가지는 여덟 개의 4레벨 연구들 중에서, 다섯 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감소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고, 다른 세 개의 연구들은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리고 각각 하나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가지는 3레벨의 연구들 중에는, 네 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를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고, 나머지 하나의 연구는 그렇지 않았다. 즉, 13개의 연구들 중에서 9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경험적 연구들은 밝게 조명이 비추어지는 지역들이 어두운 상태로 남겨진 지역들보다 안전하다는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검토결과는 지역사회에 새로운 또는 추가적인 조명 시설의 도입을 지지하는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증거들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과 영국에서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성을 엄격한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한 결과들을 검토하고 소개함으로써, 이 주제에 대한 한국학계의 관심과 향후의 연구추진을 유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어떠한 효과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한 미국과 영국의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국내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범죄예방프로그램들의 방법론적인 질을 평가하기 위해 메릴랜드의 과학적 방법척도를 사용하여 13개의 연구들을 검토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즉, 적어도 실험전과 실험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있어서의 범죄발생의 변화를 측정한 수치들이 발표된 연구들을 검토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일회성의 연구나 실험집단의 결과와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있는 대상인 통제집단이 없는 연구는 방법론상의 미흡함을 이유로 검토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복수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가지는 여덟 개의 4레벨 연구들 중에서, 다섯 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감소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고, 다른 세 개의 연구들은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리고 각각 하나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가지는 3레벨의 연구들 중에는, 네 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를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고, 나머지 하나의 연구는 그렇지 않았다. 즉, 13개의 연구들 중에서 9개의 연구들이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경험적 연구들은 밝게 조명이 비추어지는 지역들이 어두운 상태로 남겨진 지역들보다 안전하다는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검토결과는 지역사회에 새로운 또는 추가적인 조명 시설의 도입을 지지하는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증거들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과 영국에서 향상된 거리조명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성을 엄격한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한 결과들을 검토하고 소개함으로써, 이 주제에 대한 한국학계의 관심과 향후의 연구추진을 유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var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improved street lighting on crime. In particular, 13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the use of the Maryland Scientific Methods Scale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crime preven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offered some interesting findings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improved street lighting for reducing crime. Among the eight level 4 studies, five studies found that improved street lighting was effective in reducing crime, while the other three studies did not find a significant impact. Among the level 3 studies, four found that improved street lighting was effective in reducing crime, while the other did not. A detailed review found that nine out of thirteen studies showed that improved ligh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ime. These empirical studies support the assumption that brightly lit areas are safer than those which remain dark. This review provides promising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the introduction of additional lights in communities and neighborhoods. Consequently, this paper attempts to modestly contribute to the Korean literature regarding improved street lighting as a crime prevention strategy, by introducing what works and what does not work in the U.S. and the U.K.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Crime Prevention Identification
Ⅲ. Theoretial Basis
Ⅳ.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Crime Prevention Identification
Ⅲ. Theoretial Basis
Ⅳ.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