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필리핀 친족 정치체제에서 여성의 정치참여 한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8

영문명
Philippine Kinship Politics an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남궁곤(Nam-Kung Gon) 조윤주(Yun-Ju Cho)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5집 1호, 61~9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0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친족 정치는 필리핀 여성들의 정치참여를 제고시키는 자원이자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친족 정치는 다른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정치과정에서 오히려 필리핀 여성정치를 왜곡시키고 그 발전 가능성을 저지한다. 이 연구는 필리핀 친족 정치를 사회자본 특성과 가부장제 성격의 이중적 속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하여 어떤 측면에서 친족 정치가 여성의 정치참여를 촉진하면서 또한 제약하는지 분석한다.
  필리핀 친족 정치는 여성들의 정치진입 과정에 이중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친족집단 내에 존재하는 사회자본을 통해 여성들은 다른 친족들로부터 적극적인 후원을 얻는다. 대중들과 정치가문 사이에 형성된 사회자본은 정치가문 출신 여성들의 정치진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지배가문 여성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서 대중 여성들의 정치진출을 저해한다. 지배가문 여성들 역시 남성과 동등한 입장에서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사적 가부장성에 의해 비공식 정치영역에 집중함으로서 성별 귀속적인 분리장벽을 경험한다. 또한 남성 친족들과의 관계에서 종속되고 의존적인 성향을 습득한 친족여성들은 주로 선거에 출마한 친족남성들의 보조자 역할만을 담당하거나, 부득이하게 친족남성들이 선거에 출마하지 못할 때 대신 정치에 진출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친족 정치와 그것의 가부장적 성격으로 인한 폐해는 여성들의 공직 수행과정에도 계속해서 나타난다. 친족남성대신 급조되어 출마한 여성정치인들은 주체적인 동기부여나 기본적 자질, 능력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남성정치인들보다 미숙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친족여성이 정치에 진출할 수 있도록 후원한 가문구성원들은 서로 간에 존재하는 사회자본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투자 결과를 기대하게 되면서 친족 여성에게 이권과 관련된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폐해와 함께 그것이 지닌 가부장성에 의해 여성정치인들은 자신의 매력이나 감성적 수단들을 사용하여 남성정치인들을 설득하는 종속적 태도를 보이거나, 가부장적 편견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서만 활동하게 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statistics, Philippine women appea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olitics. The existing discussion agrees that kinship politics is the source and the power of women to participate in politics. However, this argument overlooks the fact that kinship politics can distort and hinder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women"s politics in the Philippines. This argument has an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Philippine kinship politics in respect to the dual characteristics-social capital and patriarchy. In what way does kinship politics either accelerate or constra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The characteristic of Philippine kinship politics exercises dual(bi-dimensional) influence on the process for women"s entering politics. Women obtain strong support from the members in kinship group through the social capital existing in the kinship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capital between mass public and political families facilitates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from political families. This mechanism constitutes a good environment for women politicians.
  However, this case applies only to women from political families, making it a very rare case for women with an ordinary family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even women with such a good family background experience gender-oriented security barriers as they concentrate on the informal political area instead of the general political area on equal terms with men. This situation is caused by a privat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the kinship women who have become dependent on and subordinated to men usually limit themselves playing the role of an assistant for male electoral candidates or participating in politics only to substitute for men when they are not available.
  The side effect caused by the patriarchal character of the kinship politics also appears in the process of women’s government service. Being nominated to substitute for male candidates, women politicians often lack a self-motive or basic capability as a politician and often show unprofessional conduct in comparison to male politicians. The members of the kinship who claim their share of the investment based on the trust-social capital which connects them, pressure their family women politician, regarding their various interests.
  With these abuses of the kinship politics, its patriarchal character exerts an evil influence on women’s political careers. Women are likely to make use of their personal attractiveness or other emotional means to persuade male politicians and to become subordinated to them. At the same time they conduct limited activities due to the patriarchal prejudice.

목차

Ⅰ. 서론
Ⅱ. 친족 정치체제의 특성과 여성의 정치참여
Ⅲ. 정치진입 과정에서 필리핀 여성의 정치참여와 친족 정치
Ⅳ. 정치활동 차원에서 필리핀 여성의 정치참여와 친족 정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궁곤(Nam-Kung Gon),조윤주(Yun-Ju Cho). (2008).필리핀 친족 정치체제에서 여성의 정치참여 한계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25 (1), 61-99

MLA

남궁곤(Nam-Kung Gon),조윤주(Yun-Ju Cho). "필리핀 친족 정치체제에서 여성의 정치참여 한계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25.1(2008): 6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