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의 유교화 과정에 나타난 女德 담론 분석(Ⅰ) - 남성 사대부들이 주도한 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742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Womanly Virtue in the Course of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un(Ⅰ): Centering around How Men of Noble Families Understood It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미영(Mi-Yeong Kim)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5집 1호, 3~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7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남성사대부들이 제기한 여덕에 대한 담론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조선시대 유교이념의 확산과 조선후기까지 남아있던 양계적 경향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성리학이 완전히 자리 잡지 못한 시기라고 하는 15-16세기 조정담론에서는 삼종지도의 원리를 제시하며 여성들의 정치참여를 반대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반면 성리학이 정착되었다고 하는 17세기에 일반화되어 통용되고 있던 사대부들이 작성한 여성전기물에서는 당시 사대부들이 여성을 평가할 때 여성의 출신가문을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의 성취를 다룰 때는 삼종지도를 따른 열녀를 강조하고 있다. 남녀유별의 원리에 의거하여 나온 삼종지도는 원래 결혼한 여성의 신분부여는 남편에 의거해야 한다는 원리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성리학이 정착되었다고 하는 17세기 이후에도 여성의 출신가문을 중시 여겼다는 것은 17세기 이후 한국사회를 유교원리에 따른 가부장제 사회의 정착이라고 한정짓는 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조선후기 심각한 사회문제였던 처첩간의 갈등이나 적서차별문제는 동아시아 삼국 중 한국의 조선후기에 유독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었었다. 이 제도는 신분결정에 모계가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조선후기에 사대부가에서도 여전히 여성의 출신 가문에 따라 가문의 향배를 결정하는 데 여성발언권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례들은 빈번하게 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여덕 논의에서 삼종지도를 강조할 것인가, 아니면 여성의 출신가문을 강조할 것인가의 문제는 상황 내지 권력관계에 따라 우선순위가 매겨지며 논의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속에서 조선후기 유교이념으로 무장된 여성철학자 내지 문인들도 탄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necessary to analyze discourses on Womanly Virtue in order to study on a characterization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un.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sed discourses which men of noble families submitted before and after the 17th Century for it. Discourses in the 15th-16th Century in which the ideology of Cheng-Chu learning was not firmly  stablished in Chosun treated grounds to cut off women"s chance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ffai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three dependencies. On the other hand, biographical stories of women written by men of noble families in the 17th century, which were generalized and common, took a serious view of women"s chaste behaviou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three dependencies when they dealt with women"s accomplishments and women"s family background. The principle of the three dependencies derived from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was that the social status of a married woman is according to that of her husband. Therefore, I think this emphasis on women"s family background doesn"t let us say the society after the 17th century was the Confucian patriarchism only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ology characterized in the late Chosun. Particularly, the conflict between one"s legal wife and his concubine, and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legitimate and illegitimate descendants were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e late Chosun Korea, among the three nations of East Asia. It means that women"s right to a voice was frequently extant even in the noble men"s families of the late Chosun. This was because the rules said that a son"s social status was identified with his maternal line. That is, if her family was noble or if she showed good deportment, a woman had a voice in the noble family. Thus, it depended on a situation or a power relationship whether the principle of the three dependencies was emphasized, or the women"s family background was. Moreover in this process a woman could be a Confucian philosopher or a Confucian writer, who was equipped with the Confucian ideology in the late Chosun.

목차

1. 문제제기
2. 15, 16세기 조선 조정담론들과 여성의 덕
3. 17세기 여성전기에 나타난 여덕 담론
4. 맺음말: 처첩제 시행과 삼종지도 원리의 충돌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영(Mi-Yeong Kim). (2008).조선의 유교화 과정에 나타난 女德 담론 분석(Ⅰ) - 남성 사대부들이 주도한 담론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5 (1), 3-30

MLA

김미영(Mi-Yeong Kim). "조선의 유교화 과정에 나타난 女德 담론 분석(Ⅰ) - 남성 사대부들이 주도한 담론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5.1(2008): 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