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가구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

이용수 1124

영문명
A Typology of Dual-Earner Families and Differences between Women in Work-Life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마경희(Ma Kyoung-He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0집 1호, 131~16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부간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의 분배방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맞벌이 가구 젠더체제를 경험적으로 유형화하고, 각 가구 유형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부인과 남편 각각의 절대적 유/무급 노동 시간과 부부간 상대적 분담정도 등 6개의 군집변수(clustering variables)에 기초하여 군집분석(duster analysis)을 시행한 결과 잠재적 2인 양육자, 수정 남성 부양자, 잠재적 보편적 부양자 등 세 가지 유형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세 집단 중 잠재적 2인 양육자 체제 가구와 보편적 부양자 체제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잠재적 2인 양육자 체제 가구는 30대 젊은층과 고학력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인의 성평등 의식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다. 부인과 남편이 모두 사무직에 정규직으로 종사하며 특히 부인의 소득이 고소득인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보편적 부양자 체제 가구는 고졸이하의 40대가 주를 이루며 부인의 성평등 의식은 보수적이다. 부부가 모두 판매/서비스/생산직과 같이 낮은 지위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고 이들의 종사상 지위는 고용주 또는 자영업자이다. 여성의 일-삶 경험의 측면에서 볼 때 잠재적 보편적 부양자 체제 가구의 여성은 일-가족 역할갈등, 일-가족의 부정적 전이, 시간부족, 직장ㆍ가정-삶의 만족도 등 모든 측면에서 다른 유형의 가구보다 부정적인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heterogeneity among dual-earner families in terms of the way that unpaid and paid labour are distributed between two partners, and to explore differences between women in work-life experiences. A typology of dual-earner families based on wife"s responses to unpaid and paid labour hours of wives and husbands, contributions to household income and housework of wives and husbands was developed with a sample of 905 dual-earner families. The analysis recovered a three-cluster typology: (1) latent dual-carer families, (2) modified male-breadwinner families, (3) universal breadwinner families. Group membership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demographic variables(e.g., age,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e.g, job. status of employment, and income) but also to work-life experiences measured by work-family role conflicts, work-family spillover, time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검토: 맞벌이 가구 유형론
Ⅲ. 연구방법
Ⅳ. 맞벌이 가구 젠더체재 유형화와 정의
Ⅴ. 젠더체제 유형별 가구 특성과 여성의 일-삶 경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경희(Ma Kyoung-Hee). (2008).맞벌이 가구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 가족과 문화, 20 (1), 131-160

MLA

마경희(Ma Kyoung-Hee). "맞벌이 가구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 가족과 문화, 20.1(2008): 131-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