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공평성 인지의 영향요인 연구 - 기혼 취업여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1757

영문명
Exploring the working wives" perceptions of equity on the unequl gender division of domestic work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순미(Lee Soon-Mi) 김혜경(Kim Hye-Kyung)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0집 1호, 1~25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불균등한 가사노동 분담이 왜 지속되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동기에서 수행되어졌다. 특히 많은 여성들이 ‘불균등한’ 가사노동 분담을 ‘공평한’ 것으로 인지하는, 불균등(inequalities)과 불공평(inequities)의 괴리현상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가사노동의 시간과 양의 동등한 분담과 같은 객관적 평등의 차원으로부터, 공평성 인지라는 주관적, 평가적, 관계적, 정서적 차원에 관심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4대 광역도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거주하는 기혼취업여성 723명으로, 불균등한 가사노동 분담 상황에 대해 공평하다고 인지하는 여성집단을 통계적으로 변별하여 이들의 특성과 가사노동 공평성 인지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인의 가사시간은 인적자본의 크기나 노동조건의 다양한 차이들로부터는 별로 영향받지 않으며, 단지 긴 임금노동시간과 부돌봄자의 유무에 의해서만 영향받고 있었으며, 이에 비해 남편들은 다양한 변인에 따라 융통성있게 가사노동 시간을 조절하고 있었다. 둘째, 가사노동 분담 정도와 공평성 인지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불균등하게 분담하고 있으며 이를 불공평하다고 인지’하는 여성들은 전체의 54.0%이고, ‘불균등하게 분담하고 있으며 이를 공평하다고 인지’하는 여성들은 33.5%, ‘균등하게 분담하고 이를 공평하다고 인지’하는 여성들은 12.5%로 구분되었다. 셋째, 위의 집단간 차이를 다변량 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여성들의 공평성 인지는 부부관계에서 ‘배려받는다’고 인식하는 주관적 평가, 그리고 ‘일상적’ 가사노동에 대한 남편들의 분담태도에 좌우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가사노동 공평성 인지에 대한 주관적ㆍ평가적 요인의 영향력은 검증되었으나, 여성들의 소득의 크기 등 인적자본의 차이와 같은 객관적ㆍ권력관계적 요인의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a question why the unequal division of domestic work continues among the dual career couples even though the wives participate at wage work more than ever. We shifted the focuss from the actual working conditions of domestic work like working time or division of labor, to the perceptions of those and tried to explai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nequality and the inequity, and examined the reasons affecting on it. Survey was conducted upon 950 married working women living at Seoul and the other 4 big cities in Korea during June to July of 2007. Among them analysis was done on 732 persons who are married for less than 20 years and are dual working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en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crossing the actual division and equity perception, wives who work equally and perceive equitable make only 12.5%. The other group of people who work unequally and perceive inequitable constitute 54.0%, and the last 33.5% considers the unequl division as equitable. So we selected and anlaysed the two groups who work in the same unequal condition but perceive different. After the logistic regress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equity were found as followings: the wives" subjective appreciation that they are "carefully concerned" by husbands in the marrital relationships, and that the husbands show the participatory attitudes towards the ordinary inside housework. It means that the subjective, emotional, and the evaluative aspects are more important in the equity issues than the objective resourses like income differentials between coupl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가사노동 공평성 인지 영향요인
Ⅲ. 연구방법: 분석방법과 조사도구의 구성
Ⅳ. 분석과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미(Lee Soon-Mi),김혜경(Kim Hye-Kyung). (2008).부부간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공평성 인지의 영향요인 연구 - 기혼 취업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 (1), 1-25

MLA

이순미(Lee Soon-Mi),김혜경(Kim Hye-Kyung).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공평성 인지의 영향요인 연구 - 기혼 취업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1(2008):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