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주상복합건물의 공간적 효과 - 공동화 방지수단인가? 과밀화 유발요인인가?

이용수 243

영문명
The Role of Mixed-use Building: A Useful Tool for Urban Emptiness Trend or A Cause of Public Service Congestion?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김재익(Jae-Ik Kim) 권진휘(Jin-Hwi Kwon)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5卷 第3號,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상복합건물이 도심공동화를 방지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다는 주장과 공공서비스의 과밀화를 유발하는 문제거리라는 주장 등 도시성장관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상반된 주장들을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경우 최초로 주상복합건물이 건설된 2002년이후 2006년말까지의 주상복합건물중 21층이상, 300세대 이상의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상복합건물의 입지패턴을 분석한 결과 도심입지는 소수에 불과하고 주로 비도심지역, 인구감소지역에서 건설되어왔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고밀도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을 건설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인구유입효과는 있지만 입지의 특성상 도심공동화를 방지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고밀도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이 공공서비스의 과밀화를 초래한다는 주장도 인구감소지역 즉 수요감소지역에 입지한다는 특성을 감안하면 이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할 수 없다. 비록 주상복합건물이 합법적 과정을 거쳐 건설되었더라도 도시성장관리의 차원에서 문제가 된다면 그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검토ㆍ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urban area where rapid suburbanization trend continues,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s controversial. It is argued that the mixed use building is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 It is also argued that the building is a cause of se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ongestion, public service shortag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s in term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data of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21 story or higher with more than 300 units) from 2002 to 2006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mixed use buildings are located in either sub-centers or population losing area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core. Therefore,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two controversial arguments. The mixed use building is not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 because it is built in non-core areas in most cases. However, it does help to increase population inflow in non-core area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public service assertion which states that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 causes public service congestion, because the building is built in population losing or demand decreasing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urban service boundary or concurrency program to manage urban growth.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 및 접근방법
Ⅳ. 대구광역시의 성장패턴과 인구분포
Ⅴ. 대구광역시 주상복합건물 현황 및 특성
Ⅵ. 주상복합건물이 도시성장관리에 주는 시사점
Ⅶ. 결론
참고문헌
부록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익(Jae-Ik Kim),권진휘(Jin-Hwi Kwon). (2007).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주상복합건물의 공간적 효과 - 공동화 방지수단인가? 과밀화 유발요인인가?. 주택연구, 15 (3), 65-89

MLA

김재익(Jae-Ik Kim),권진휘(Jin-Hwi Kwon).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주상복합건물의 공간적 효과 - 공동화 방지수단인가? 과밀화 유발요인인가?." 주택연구, 15.3(2007):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