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가족 속의 아이들 - 일제시대 중상류층의 아동기

이용수 360

영문명
Children in the large Family: Childhood among the Upper Middle Cla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은희(Kim Eun-he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9집 3호, 1~3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문헌 자료뿐만 아니라 구술 자료를 활용하여 일제시대 중상류층의 아동기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아동기의 개념이 근대가족의 변화에 대한 논의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논의는 드물고 그나마 대부분 문헌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본 논문의 구술 자료는 일제시대 새로이 등장한 지주나 전문직 계층에서 아동기가 전통적이면서도 동시에 해방 후 다른 계층에까지 확산되어온 한국의 근대적 아동기의 특징들을 이미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출산율과 영아 사망률이 여전히 높았고 중상류 계층의 구술자들은 대체로 핵가족 외의 친척들과 일꾼들이 함께 사는 대가족에서 성장하였다. 대가족 속에서 아이를 직접 보살피고 키우는 일은 ‘젖어멈’(유모), 애보는 아이, 친척, 조부모 등에게 많이 맡겨졌는데, 특히 부유한 집에서는 유모의 역할이 두드려졌다. 아이들은 어머니와의 깊은 애착관계보다는 핵가족 이외의 친척이나 ‘남의 식구들’과 폭넓게 애정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대가족 속에서 전통적인 위계관계와 예절이 지속되었고 규율적인 생활태도를 강조하는 서구의 근대적 양육법은 실천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술자들의 집안에서 근대적 교육은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현대 한국 사회의 중산층에서 아들, 딸 차별 없이 교육시키는 교육열과 사교육의 열풍을 당시 중상류계층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또한 아이들 사진을 찍어주기 시작했으며 아이들을 데리고 나들이와 여행을 가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시대 중상류 계층에서 서구의 전문화된 모성역할과 양육이데올로기를 수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기존의 모성역할에 대한 논의의 재고를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nstructs childhood in the upper and middle class over the colonial period by utilizing the oral data. Although the issue of childhood has been central in the theoretical debate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modern family in the West, historical research on changing childhood in Korea has been rare and have used only the literary sources. The oral data used in the present paper reveal that the children"s lives in the bourgeois class were largely "traditional". But they also show the distinctive traits of middle class childhood as found in modem Korea. Both the birth rate and the infant death rate were high and most of the upper middle class children lived in the very large households which included relatives and domestic helpers. In the large families the mother"s role in child care was not significant. Particularly in the affluent family the breast-feeding of the child was often taken up by the wet nurse. As a result the child often became attached to the various household members other than the mother. Strict child-rearing as found in the Western bourgeois class was not practiced in the families of the interviewees. The tradition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were still maintained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Nonetheless, daughters began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education zeal as found in modem Korea appeared in the upper-middle cla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Some families now take the children to outings and to have the children"s photos taken.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e reconsideration of the view on motherhood in Korea, which assumes that the Western ideology of motherhood and child rearing was accepted by the educated upper-middle class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목차

Ⅰ. 들어가며
Ⅰ.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Ⅲ. 이론적 배경: 문화적 개념으로서의 아동기(childhood)
Ⅳ. 어린이에 관한 전통적 인식과 일제시대 지식인들의 담론
Ⅴ. 도시 중상류층의 아동기
Ⅵ.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희(Kim Eun-hee). (2007).대가족 속의 아이들 - 일제시대 중상류층의 아동기. 가족과 문화, 19 (3), 1-30

MLA

김은희(Kim Eun-hee). "대가족 속의 아이들 - 일제시대 중상류층의 아동기." 가족과 문화, 19.3(2007):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