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 부천 지역 교육안전망 사례연구

이용수 857

영문명
Networking as Learning - A Case study of Education Safety Net in Bucheon -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혜(Lee Ji-Hye) 홍숙희(Hong Sook-He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3호, 215~2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그간의 평생교육 분야에서 네트워크 논의가 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고 보고, 네트워크 안에 담긴 역사성과 중층성, 그래서 형성된 ‘역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도입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활동이론과 상황학습이론을 근간으로 하였고,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부천지역의 교육안전망을 채택하였다. 개인 면담 및 전문가협의회, 문헌분석 등에 의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천지역의 교육안전망은 학습활동의 ‘도구(tools)’로써, 온-오프 매체를 통한, 공식 비공식, 민관-민민 협력 등의 다양한 ‘매개수단’을 확보하고 있었고,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와 함께 ‘민관 협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 그리고 네트워킹의 절차를 일종의 학습 ‘규칙(rules)’으로 내재화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참여’를 통한 실천을 통해 지역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정체성(identity)을 형성해 가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학습요소를 이끄는 목표는 개별 기관의 이해를 넘어 치열한 갈등과 조정을 거치며 ‘공공성’을 지향하는 공통 가치 준거 공유과정을 통해 형성 변화해 가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네트워킹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여 준다. 첫째, ‘네트워킹’을 곧 공동의 ‘정체성’ 형성과정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보게 하여 준다. 둘째로, 네트워크를 움직이는 것은 참여자 간의 ‘긴장’ 그리고 역사적으로 축적된 ‘모순’의 힘이다. 셋째로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층적 입체적 ‘매개수단’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허브조직의 가장 주요한 역할은 네트워크 내의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이는 바로 ‘매개수단’의 공유 및 재생산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the discourse of ‘network’ has been focused on the static aspect. However, it needs to include the historicity, complexity and dynamic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network’. Theoretically, it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activity theory to interpret ‘network’ as a dynamic learning subjec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Education Safety Net’ in Bucheon is adopted as the case. The networking in Bucheon which is diverse and dynamic is highly estimated. To collect the data, in-depth interviews, practitioner meetings and literature review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e following implications: At first, it provide a perspective to see networking as forming a common identity. In the process, ‘participation’ of the agents in the area is pivotal. Secondly, the driven forces to move a networking is originated from the tensions between agents and elements and contradictions accumulated in local history. The tensions results in the collective motives and tendency of object-oriented activity system. Thirdly, it needs to have diverse ‘tools’ to activate networking. The roles of hub organization are to facilitate and to regenerate the ‘tools’.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부천지역 교육안전망의 지형
Ⅴ. 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분석
Ⅵ.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혜(Lee Ji-Hye),홍숙희(Hong Sook-Hee). (2007).‘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 부천 지역 교육안전망 사례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 (3), 215-243

MLA

이지혜(Lee Ji-Hye),홍숙희(Hong Sook-Hee). "‘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 부천 지역 교육안전망 사례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3(2007): 215-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