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의 실태와 사회정책적 시사점 - 충북 지역의 경우
이용수 623
- 영문명
- Living Conditions of Atypical Female Workers in Chungbuk Province and Some Policy Proposals for Them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김미숙(Mi-Sook Kim) 김종일(Jong-I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5권 제2호, 85~130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0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사회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2004년 겨울과 2005년 여름을 이용한 설문지 조사 결과 조사 대상자의 60%가 기혼자였고 2/3가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서비스 직종에 가장 많은 응답자가 종사하고 있었고 과거 직장 경력이 있는 응답자의 절반이 정규직 근무자였다. 이들 중 대다수는 정규직으로의 이동을 희망하였다. 가구 실태를 보면 응답자의 1/3을 차지하는 여성 가장가구와 일반 가구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국 가구평균과 경제적으로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일반 가구와 달리 여성 가장 가구는 차상위계층 이하의 빈곤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특정 집단의 처지를 감안한 맞춤형 사회정책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iving conditions of atypical workers residing in Chungbuk Provi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also intend to make some policy suggestions for them. Specifically we focus on those female workers who economically head their households. We conducted a sample survey using questionnaire and collected a total of 433 sample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an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is 38 and they are relatively well educated. Their jobs range from manual workers at small factories to clerks, sales persons, and even temporary school teachers, thus covering almost all job categories in Korea. Most of respondents had been regular workers before they became atypical workers, confirming the recent allegations by various women’s groups that female jobs have rapidly been degraded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working conditions. We also examined their household situations. The data revealed that socioeconomic situations facing the atypical workers’ families are really grim. In particular, those who actually play the role of household providers are faced with the worst situations. Their households are at the bottom of the income brackets, but they receive little support(economic or social) from the government. Immediate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ameliorate their hardship. But we suggest that policy measures for the atypical female workers be group-specific. In other words, diverse policy proposals should be made so that they may reflect the needs of various groups within the atypical female workers.
목차
[글의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의 실태와 사회정책적 시사점 - 충북 지역의 경우
- 사회복지시설의 신뢰와 몰입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언론 보도에 나타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서의 아동, 청소년 지원 동향 분석
- 제3부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황 - 사회복지 적용을 위한 탐색
-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의 경과와 법제도적 함의
- 『한국비영리연구』원고작성 및 투고요령
- 지방분권: 기능적 효율성과 조정 메카니즘
- 직접민주주의에서의 시민사회단체와 이익집단 - 캘리포니아 주민발안 투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