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觀物과 反觀 - 자연주의적 사유의 인문주의적 기획
이용수 332
- 영문명
- The Prehending and the Reflective Prehending - the humanistic project of naturalistic thinking -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이창일(Lee Changil)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26輯, 99~1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유학의 선구자 가운데 한 인물인 소강절의 핵심적 철학 개념인 관물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가 관물을 도가적 사유의 틀로 해석하는 것에 비해서, 이 글은 관물이라는 개념 속에 함축된 새로운 유학의 기획에 주목하고 있다. 도가의 자연주의적 사유와 관물의 철학적 특징을 이해하가 위해, 장자의 심재(心齋)와 관물을 비교했다. 이를 위해 소강절의 관물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관물과 더불어 반관(反觀)을 짚어보았다. 관물과 반관은 거의 같은 진술이며, 특히 반관을 말하면서 유학의 철학적 특성과 새로운 유학의 기획을 잘 드러내고 있다. 관물과 반관의 철학적 특성은 심재와 유사한 사유방식이라고 할 수 있지만, 관물과 반관은 유학적 사유의 특징인 인문주의를 최종적 의미로 가지고 있음을 보았다. 또한 관물과 주역의 관련에도 주목하여, 관물은 주역의 점서적(占筮的) 사유를 이법화한 것이라는 해석을 했다. 소강절의 관물론은 심재나 주역의 점(占)에서 보이는 무심(無心)과 무아(無我)의 사유인 자연주의적 사유를 인문주의적으로 해석한, 새로운 유학의 철학적 기획을 보여 주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rehending, a core philosophical concept of Shao Kangchieh"s, who was one of the forerunners in Neo-Confucianism. Compared with established studies interpreting the prehending in the framework of Taoistic thinking,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project of new Confucianism implying into the concept of so called the prehending. To stand out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uralistic thinking of Taoism and the prehending, prehending is compared with the purification of mind. Thus, deeply to analyze the prehending of Shao Kangchieh"s, examining the prehending and the reflective prehending. The prehending and the reflective prehending can be regarded as almost the same statements, especially with stating the reflective prehending, which manifests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ject of new Confucianism.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hending and the reflective prehending may be considered as the similar thinkings with the purification of mind, it means that they are implying the final meaning of Confucian humanism. Also taking notice of relations between the prehending and I Ching, we interpret that the prehending is to philosophize the prognosticative thinking of I Ching. We confirm that the prehending shows the philosophical project of new Confucianism, which could interpret the naturalistic thinking, the thinking of no-mind and no-ego in the purification of mind or I Ching, with humanistic one.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Ⅱ. 관물
Ⅲ. 반관(反觀)
Ⅳ. 무심(無心)의 의미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관물
Ⅲ. 반관(反觀)
Ⅳ. 무심(無心)의 의미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鶴山 李正浩의 易學 思想
- 동산 유인식의 계몽운동과 유교개혁론 - 정재 학파의 유교개혁론 연구(2)
- 『老子』의 儒家觀 再論 - 통행본과 곽점본을 중심으로
- ‘기추인(畸醜人)’을 통해 본 장자의 사유방식
- 楊簡의 心學에 있어서 ‘心卽道’의 원칙과 그 修養經
- 다산 경학에서 고증(考證)과 의리(義理)의 문제
- 왕필『주역주』해경방법론과 그 연원에 대하여
- 『周易』에서의 占의 意義
- 벗에 대한 고찰 - 『논어』와 『아함경』을 중심으로
- 중국 고대 感應觀의 형성 - 주요 개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판단력비판』의 ‘무관심성’과 『장자』의 ‘유’ 비교 - ‘상상력’과 ‘정신의 자유’를 중심으로
- 觀物과 反觀 - 자연주의적 사유의 인문주의적 기획
- 韓國東洋哲學會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