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鶴山 李正浩의 易學 思想
이용수 178
- 영문명
- Hat San, Lee Jungho"s Thought of I-Ching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곽신환(Kwak Shin Hwan)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26輯, 55~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산 이정호는 근래 역학 연구의 주요 인물의 하나이다. 그는 국가 민족 개인 모두 艱苦했던 시절, 『주역』과 『정역』 연구에 종사했다. 그는 『주역』에서 논거를 발굴하여 『정역』을 복희역, 문왕역의 뒤를 이은 제3의 역이며 미래의 역으로 규정한다. 그의 역학관의 근간은 三易論이고 後天易이다. 가존의 복희 선천역 문왕 후천역을, 문왕 선천역 一夫 후천역 또는 후천의 후천역으로 본다. 선후천관이 바뀌니 그의 『역』에 대한 전체적 전망도 달라졌다. 그는 尊空이라는 개념을 발굴하여 이를 새로운 덕목의 근간으로 제시한다. 이는 마땅히 존경할 자에 대하여 존경의 마음을 가지고 그 자리를 비워둔다는 의미이다. 또한 調陽律陰의 논리에 주목한다. 음양에 대한 抑尊이 선천의 논리라면 無偏氣의 天道가 음양에 대한 調律의 방식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유불선 3교의 회통은 물론 모든 종교의 궁극적 일치를,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희망의 철학을 지향한다. 그의 역학의 핵심은 역시 자연과 세상의 變易이고 장차 到來할 變易에 대한 인간의 對備로서의 가치관의 변동이다.
영문 초록
Lee Jeongho(1913-2004) is a outstanding I-Ching Scholar. He studied I-Ching and The Book of Correct Changes which we named JeongYeok(正易). He regarded the latter as the Third Book of Changes which emerged after the first Fushi-I(伏羲易), the second Won Wang-I(文王易). The Book of Correct Changes"s main ideas composed of cosmic changes, reformation of society, and transformation of human beings. It suggest several ways for us to have got to accomplish the highest well-being society named yuli(琉璃) world in terms of The Book of Correct Changes. It includs to cease the struggling, to make one big family around the world, and to success the spirit and tradition of Confucianism. Lee changed the idea of the former heaven-after heaven in The Book of Changes. It is full of the good news which comprehensive harmonized world named the after- heaven will be coming soon.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학산의 易學觀
Ⅲ. 학산의 『정역』觀
Ⅳ. 『정역』의 내용에 대한 이해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학산의 易學觀
Ⅲ. 학산의 『정역』觀
Ⅳ. 『정역』의 내용에 대한 이해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鶴山 李正浩의 易學 思想
- 동산 유인식의 계몽운동과 유교개혁론 - 정재 학파의 유교개혁론 연구(2)
- 『老子』의 儒家觀 再論 - 통행본과 곽점본을 중심으로
- ‘기추인(畸醜人)’을 통해 본 장자의 사유방식
- 楊簡의 心學에 있어서 ‘心卽道’의 원칙과 그 修養經
- 다산 경학에서 고증(考證)과 의리(義理)의 문제
- 왕필『주역주』해경방법론과 그 연원에 대하여
- 『周易』에서의 占의 意義
- 벗에 대한 고찰 - 『논어』와 『아함경』을 중심으로
- 중국 고대 感應觀의 형성 - 주요 개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판단력비판』의 ‘무관심성’과 『장자』의 ‘유’ 비교 - ‘상상력’과 ‘정신의 자유’를 중심으로
- 觀物과 反觀 - 자연주의적 사유의 인문주의적 기획
- 韓國東洋哲學會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