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alysis of Retired Women’s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 Focus on Comparing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 Retirees

이용수 104

영문명
Analysis of Retired Women’s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Jikyung K im(김지경)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70호, 121~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6차년도(2003) ‘중?고령자’ 부가조사 자료를 분석 자료로 하여, 만50세 이상 은퇴여성의 특성을 자발적 은퇴여성과 비자발적 은퇴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들의 은퇴 후 주된 소득원천과 은퇴 후 소득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multinomial logit과 censored normal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발적 은퇴여성보다 비자발적 은퇴여성의 은퇴 후 소득수준이 더 높고, 소득원천이 있는 여성만을 고려했을 경우 그 차이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자발적으로 은퇴한 여성의 경우, 은퇴 후 배우자나 다른 가족원의 소득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은 배우자의 소득이 없거나 다른 가족원으로부터 사적이전소득이 없다면 정부의 공적소득이전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은퇴 후 주된 소득원천을 결정하는 요인분석에 있어서 개인 및 가구 특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만50세 이상의 은퇴여성들이 은퇴 전에 전반적으로 낮은 취업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노동시장 경험에 있어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된다. 셋째, 은퇴 전 노동시장에서 전문/사무직에 일했던 여성은퇴자가 그렇지 않은 은퇴자에 비해 은퇴 후 소득액이 많다는 결과는, 은퇴 전 안정된 고용과 적정수준의 근로소득은 은퇴 후 여성의 경제적 복지를 보장하는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middle- and old-aged people’ in the 6th year(2003)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tired women who were compared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 retire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ir main income source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nd the amount of income using the censored norm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voluntarily retired women had higher income after retirement than voluntarily retired women and the difference was even bigger when only women with income sources were considered. This means that voluntarily retired women tend to depend on the income of the spouse or other family members after retirement. They are likely to be subject to public income transfer by the government if they do not have private transfer income from the spouse or other family members. Secondly, in the analysis of factors determining main income sources after retirement, only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This may be because retired women aged over 50 generally have a low employment status before retirement and, as a result, their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are not much different. Thirdly, female retirees who had been specialists/office workers in the labor market before retirement had a higher income after retirement than those who had been other types of workers. This implies that stable employment and steady labor income before retirement can be the best alternative guaranteeing economic welfare for retired women.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Reference
한국어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kyung K im(김지경). (2006).Analysis of Retired Women’s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 Focus on Comparing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 Retirees. 여성연구, , 121-143

MLA

Jikyung K im(김지경). "Analysis of Retired Women’s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 Focus on Comparing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 Retirees." 여성연구, .(2006): 12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