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활공동체가 갖는 대안적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탐색

이용수 607

영문명
Study on Femal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Self-sufficient Communitie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황정임(Jungim Hwang) 송치선(Chiseon Song)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70호, 85~12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60~70%가 여성이고 자활근로를 거쳐 자활공동체를 통해 궁극적으로 탈수급, 자활을 도모하는 현행 체계에서, 자활의 최종경로로 설정된 자활공동체는 보다 여성들의 특성을 반영해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활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빈곤여성 19명을 면접조사하여 자활공동체 유형-생산조합형, 사회적기업형, 인력파견형-에 따라 이들의 자활경험을 분석하였다.
  빈곤여성들은 자활공동체를 자신의 일자리로, 노동의 공간으로 여기면서 자활을 위해 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생산조합형의 경우 시장 안에서 다른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버텨내야 하는 것 때문에, 인력파견형의 경우 일에 대한 사회적 시선을 의식하면서 노동강도와 불안정한 노동여건으로 인해 안정적인 소득이 보장될 수 있는가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었다. 사회적기업형에 참여하는 여성의 경우는 안정적인 소득이 보장되고 일반시장 보다 나은 노동여건으로 만족감을 느끼고는 있으나, 향후 안정된 기업으로 정착될 것인지, 그래서 계속 이곳에서 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현행 자활체계 안에서의 자활공동체는 시장진입형 공동창업 형태로 볼 수 있는 하나의 상을 갖고 있지만 실제 자활현장은 다양한 자활공동체가 공존하고 있으며, 각 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빈곤여성들의 자활경험도 상이했다. 따라서 자활공동체가 대안적 일자리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활공동체 = 빈곤여성의 안정적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자활공동체의 유형별로 다각도의 맞춤형 자활공동체 지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자활공동체 참여여성이 생산역할(일)과 재생산역할(돌봄)을 균형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영문 초록

  A self-sufficient community is the final stage in a Self-Support System and an alternative job opportunity for recipients of welfare. This study intends to re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experiences of women in self-sufficient communities. Nineteen women were interviewed through a self-support promotion agency, and 17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majority of female participants in self-sufficient communities considered a job in a self-sufficient community as bona fide employment and worked diligently to earn a living for their livelihood. However, positions in self-sufficient communities are low-paying jobs, and income through such positions is insufficient for basic living standards. As well, the jobs are unstable and the experiences of the female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t communities varied with the type of commun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ffer jobs suitable for women, allowing for different types of self-sufficient communities. Besides this,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social services and programs to assist them in balancing a career and raising children.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영어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정임(Jungim Hwang),송치선(Chiseon Song). (2006).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활공동체가 갖는 대안적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탐색. 여성연구, , 85-120

MLA

황정임(Jungim Hwang),송치선(Chiseon Song). "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활공동체가 갖는 대안적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탐색." 여성연구, .(2006): 8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