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저항의 다차원적 개념 모형과 검증

이용수 701

영문명
Multi - dimensional Conceptual Model and Test for Resistance to Innovation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권중생(Joongsaeng Kwon) 김태형(Tae-Hyung Kim)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 第20卷 第1號, 231~25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업혁신의 성공은 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관리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비록 정도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적극적, 소극적, 무관심 및 수용이라는 변화에 대한 다양한 저항 행동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저항을 비용/효익, 점진적/전략적, 기대적/반응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관리하는 방법 이외, 상황적합적 대응방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지만, 혁신저항이라는 복잡한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파악하고자 한 시도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혁신에 대한 개인의 저항을 다차원적 개념 즉, 인지와 수용 및 행동이라는 태도의 요소 차원에서 재구분하여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혁신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지와 수용 및 저항행동간 관계를 연구과제로 설정하고, 특히 혁신의 수용성은 변화에 대한 인지도와 저항행동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이론적 연구결과로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최근에 혁신을 경험한 K 공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혁신 인지도와 수용도 및 저항행동 수준을 측정하고 분석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저항행동은 혁신수용도에 따라 줄어들고, 혁신인지도는 혁신수용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여기서 혁신수용도는 혁신인지도와 저항행동간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저항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혁신에 대한 정서적 수용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의 필요성과 내용을 정확히 인식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록 혁신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혁신수용도를 높이는 방안은 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저항행동을 줄이지는 못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conceptualize the individual resistance to change in accordance of the psychological attitude theory with three component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ones. We make it our research them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on, acceptance and resistance of organization members. Especially, we suggest that the acceptance of innovation intervenes the cognition and resistance behavior. Some data from the K public corporation which had experienced the innovation lately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o test our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 resistance to innovation maybe understood in separate multi-dimensional concept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re identified. Individual resistance to innovation is reduc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novation acceptance and the cognition of innov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The results shows that the innovation acceptance have complete intermediating influence between the cognition and resistance of innovation. Therefore, to reduce the resistance of innovation,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individual affective acceptance must be enhanced and make it clear and be understood the necessity of innovation to increase the level of affective acceptance of i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crease of cognition of innovation may enhance the level of affective acceptance, but could not reduce the resistance to innovation in direct mann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중생(Joongsaeng Kwon),김태형(Tae-Hyung Kim). (2005).혁신저항의 다차원적 개념 모형과 검증. 경영연구, 20 (1), 231-252

MLA

권중생(Joongsaeng Kwon),김태형(Tae-Hyung Kim). "혁신저항의 다차원적 개념 모형과 검증." 경영연구, 20.1(2005): 231-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