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DCF 확대·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4

영문명
A Study on Expansion of EDCF
발행기관
한국공공정책학회
저자명
송하성(Haseong Song)
간행물 정보
『공공정책연구』공공정책연구 제18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9.0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수원국에서 다른 선진국들과 같이 이제는 공여국이 되었다. 짧은 기간동안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1987년 대외경제협력기금이 설치된 이후 2004년 말까지 세계 39개 개발도상국의 126개 개발사업에 대해 20억 달러의 원조자금을 지원함으로써 개도국의 경제와 복지증진 및 우리나라의 경제 교류에기여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 환경에 대한 성찰과 납세자인 국민의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여론을 바탕으로 선별적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현재 국제적으로 이자율이 크게 낮아지고 돈을 빌리기가 어렵지 않게 되어 EDCF는 점점 매력을 잃어 가고 있다. G8 회의에서 최빈개도국의 빚을 약 400억 달러를 탕감해 주기로 합의했고 우리나라에게도 빚을 탕감해 달라는 압력이 오고 있으며 차관으로 빌려주는 것 보다 무상으로 원조해 달라는 요구가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직 선진국에 진입하지 못한 우리나라는 EDCF를 무사으로 바꿀 수 없는 처지이므로 상대국에도 이익이 되고 우리경제에 발전이 되도록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대다수 국민들은 EDCF에 대해 95% 이상이 알고 있고, 내용까지 알고 있는 국민은 약 50% 정도이다. 현재의 대외원조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50% 이상이며,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은 12%에 불과하다. 한국도 대외경제협력 기금의 지원효과가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이미지 제고, 수출시장 및 자원의 확보, 호혜적 지원 등을 우리나라 원조의 시대적 배경과 원조환경에 기반하여 한국형 원조 모델로 수립해야 한다. 이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규범화를 통해 우리에게 적합한 원조 실시 체제를 확립하고 우리의 경제력에 상응하는 공적개발원조를 확충하여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실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 has become a donor country. Economically it grew rapidly and has established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EDCF) in 1987. Until 2004 Korea provided 39 developing countries with $2 billion for 26 development projects. This has contributed to their economic growth and welfare improvement. This has also contributed to econo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aid-recipient countries. G8 nations have agreed to write off developing countries external debt by $40 billion. Consequently they put the pressure on us to cancel their debt owed to us. Moreover, they demand aid rather than concessionary loans. It is Korea far payers that will take on burden. Therefore, we need to find out what is the taxpayers position about Korea's werseas aid. We took a survey on EDCF and the result indicated that more than 50% of the respondents wanted expansion of Korea's foreign aid. Only less than 12% wanted to reduce it. It can be argued that our foreign aid through EDCF should bring about export increase, boost-up of country image, and reciprocal support.

목차

국문초록
Ⅰ. EDCF(대외경제협력기금)의 개요
Ⅱ. 대외경제협력기금 필요성 및 지원효과
Ⅲ. EDCF 향후 지원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
첨부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하성(Haseong Song). (2005).EDCF 확대·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연구, (18), 1-40

MLA

송하성(Haseong Song). "EDCF 확대·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연구, .18(2005):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